김정은, 직접 북중우의탑 찾아 중국과 ‘혈연적 유대’ 또 과시
정전협정 체결 68주년 맞아 28일 참배…화환엔 ‘숭고한 경의’ “조중친선은 공동의 위업 한길에서 대 이어 굳건히 계승될 것” 최근 시진핑 주석과 친서 교환 등 북중 혈맹관계 강조 행보 계속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서기 겸 국무위원장이 6.25전쟁 정전협정 체결 68주년 다음 날인 지난 28일 직접 북중우의탑을 찾아 헌화하고, 중국과 ‘혈연적 유대’를 또 과시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등 북한 매체들은 29일 “조선노동당 총비서이시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장이신 경애하는 김정은 동지께서 조국해방전쟁 승리 68돌에 즈음하여 7월 28일 (북중)우의탑을 찾으셨다”며 “혈연적 유대로 맺어진 조중친선은 공동의 위업을 위한 한길에서 대를 이어 굳건히 계승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우리 공화국이 가장 혹독하고 힘든 고비를 겪을 때 우리 인민의 성스러운 역사적 투쟁을 피로써 지원한 중국 인민의 고귀한 넋과 공적은 번영하는 사회주의 조선과 더불어 불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또 6.25 당시 중국의 참전에 대해 “항미원조 보가위국의 기치를 높이 들고 가열처절한 전화의 나날들에 우리 군대와 어깨 겯고 싸운 지원군 장병들의 참다운 전투적 우의와 무비의 희생정신”이라고 치켜 세우며 “전승의 역사와 우리 인민의 기억 속에 역역히 새겨져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이 북중우의탑 앞에 세워놓은 화환에는 “전체 조선 인민의 이름으로 숭고한 경의를 표합니다. 조선인민을 대표하여 김정은”이라는 문구가 씌여 있었다.
김 위원장의 북중우의탑 참배에 맞춰 북한 인민군 명예위병대는 분열행진까지 벌여 한껏 예우를 갖췄다.
김 위원장이 집권 이후 북중우의탑을 직접 참배한 것은 지난해 10월 중국인민지원군 참전 70주년 기념일과 2019년 6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 때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김 위원장은 이에 앞서 북중우호조약 체결 60주년을 맞은 이달 초 시 주석과 친서를 교환하는 등 북중 간 혈맹관계를 강조하는 행보를 계속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북한의 조용원·리일환·정상학 당 비서, 박정천 군 총참모장, 권영진 군 총정치국장, 리영길 국방상 등이 수행했다.
수행인 중에는 최근 실각한 것으로 알려진 북한 군 서열 1위 리병철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도 있었고, 조선중앙통신이 노동당 비서들 다음으로 북한 군 수뇌부를 열거하면서 4인 중 가장 먼저 호명해 눈길을 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