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논의 여부 국제 이슈로 부상
로이터통신 “문-김 정상회담 모색…시기 등 논의 못해” 보도 익명의 소식통 “코로나19 가장 큰 변수…상황 나아지길 기대” 청와대, “외신보도 사실 아냐…논의 된 바 없어” 거듭 부인 미 국무부 대변인, “미국은 남북한 간 대화와 관여를 지지”
[국방신문=윤석진 기자]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서기 겸 국무위원장이 지난 4월부터 친서를 교환하면서 정상회담 개최를 논의했는지 여부가 큰 국제적 이슈로 부상했다.
로이터통신이 지난 28일 복수의 한국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정상회담을 모색하고 있지만,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상황으로 인해 정상회담의 시기나 세부 사항은 논의되지 못하고 있다”고 보도하면서 세계적으로 주목을 끌었다.
이 통신은 이어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지난 4월 이후 긴장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여러 차례 서한을 주고받았다”며 10여 차례에 걸쳐 ‘솔직한(candid)’ 편지가 오갔다고 전했다.
이 통신은 남북 간 친서교환 통로로 한국 정보당국과 북한의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 채널을 지목했다.
이 통신은 이와 관련 “남북은 비무장 지대의 공동연락사무소를 재건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며 “정상회담 개최의 가장 큰 변수는 코로나19로, 대면 회담이 가장 좋지만 상황이 나아지기를 기대한다”고 익명의 한 소식통 말을 인용하기도 했다.
이 소식통은 로이터에 “(바이든 정부가) 대북인권특사에 앞서 (성김) 대북특별대표를 먼저 임명하거나, 일괄 타결보다 단계적 접근을 추구하는 등의 일부 가시적인 요소들이 있었다”며 “북한으로서도 가만히 있을 수는 없기 때문에 남북 관계를 출발점으로 삼은 것”이라고 밝혔다.
이 통신은 “남북 간 대화 재개는 교착된 북미 협상을 풀어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 문제는 임기 마지막 해 지지율 하락에 직면해 있는 문 대통령에게도 중요한 문제”라고 덧붙였다.
청와대는 로이터통신의 이 보도가 나온 직후 박경미 대변인 명의로 “(남북)정상회담이 논의된 바가 없다”며 “‘남북, 정상회담 개최 논의 중’이라는 외신 보도는 이미 밝혔듯이 사실이 아니다”고 즉각 부인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도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을 발표했던 지난 27일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논의한 바 없다”고 말했었다.
한편,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미국은 남북한 간 대화와 관여를 지지한다”는 기존의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고 28일(현지시간) 자유아시아방송(RFA)이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