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영 통일, “남북미, 대화로 해법 찾아야…지금 시작할 때”

비핵화, 평화 구조 정착, 교류와 협력 “동시. 단계적 상응조치해야 ” “북한이 대화에 유연하고 전향적 의사 보이지만 우리가 예단 안해”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 꼭 필요…진전된 대화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 “종전선언, 군사적, 정치적 부담 없이 유용하고 중요한 의미의 조치”

2021-09-29     윤석진 대기자
이인영 통일부 장관.(자료 사진=통일부 제공)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29일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남북 관계 해법에 대해 한반도 비핵화, 평화 구조 정착, 교류와 협력 복원 등의 문제를 “같이 풀어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유럽 순방을 위해 출국하기 직전 인청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세 가지 과정을 동시적으로, 또 단계적으로 상응하는 조치를 취해 나가면서 풀어나가는 그런 해법들을 우리가 찾아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경제협력을 하기 위해서 제재 문제들을 우리가 풀어내려면 비핵화 협상이 진전돼야 하고, 비핵화 협상이 진전되는 것과 병행해서 평화구조의 문제과 관련해 이야기들이 오고 갈 수 있어야 한다”는 예를 들면서 “남과 북이, 북과 미가, 또 남북미가, 또 필요하다면 관련국들이 만나서 이런 문제들에 대해서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하고, 서로 해법을 찾아 나가는 그런 지혜를 발휘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서 “그런 측면에서 진전을 위한 대화, 이런 것들은 지금 시점에서 시작해야 한다”며 “최근 북한 입장이 대화에 대해 조금 더 유연하고 전향적 의사를 보이는 측면도 있지만, 그것에 대해 우리가 예단하지 않고 있다”고 조심스럽게 언급했다.  

그는 이와 관련 “그런 과정에서 어떤 경우라도 서로 연락 채널, 통신연락선 등을 복원해 내는 건 선후나 조건 문제가 아닌 매우 중요하고 꼭 필요한 조치”라며 “연락 채널, 통신선 복원 과정에서 비로소 진전된 대화로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북한에 통신선 복원을 촉구했다. 

그는 이어 지난 21일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제안한 ‘종전선언’에 대해 “군사적, 정치적 부담 없이 신뢰 기반을 형성하면서 평화, 협력으로 나갈 수 있는 유용하고 중요한 의미를 주는 조치”라며 “우리 정부는 종전선언이 평화의 입구이고, 비핵화 촉진제로 매우 의미 있는 조치가 될 수 있다는 입장을 계속 가져왔다”고설명했다. 

그는 “종전선언 관련 기존 남북 합의 정신, 이런 부분들이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본다”며 “평화 협정과도 다른 차원의 것이며, 정치적 선언에 많은 비중이 있는 만큼 우려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 발사 주장과 관련 “한반도의 군사적 행위들이 잦아지면서 긴장이 고조되는 것 보다는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화와 협력의 마당들이 많이 만들어지면서 남북 관계나 북미관계 발전, 개선이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그런 것을 위해서 일관된 노력들을 해가겠다”고 원론적 언급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