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함정·해안포 타격 가능한 '스파이크미사일' 소개
기동식 재진입체 탄도미사일과 유사…비행 마지막 단계 방향 전환
[국방신문=서욱 전문기자] 북한이 함정이나 해안포를 타격하는 함정 발사용 스파이크급 정밀유도무기를 개발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13일 조선중앙TV가 공개한 무기 사진과 영상 자료에 대한 전문가의 분석에 따르면 북한은 자유 기동이 가능한 탄두를 보유한 기동식 재진입체(MARV) 탄도미사일과 유사한 형태의 미사일을 전시했다.
북한은 지난 11일 평양에서 개최한 '국방발전전람회'에서 이 무기들을 공개했다.
기동식 재진입체(MARV)는 탄도미사일의 기동이 가능한 탄두를 말한다. 다탄두 기동성 재돌입탄도탄 또는 기동 탄두 재진입체라고도 한다.
MARV 탄도미사일은 몸체 상하좌우에 장착한 날개를 이용해 비행 마지막 단계에서 방향을 바꿔 미사일 방어체계(MD)를 교란할 수 있다.
북한의 국방발전전람회 영상 속 미사일에도 상하좌우에 기동을 가능하게 하는 카나드 날개가 있는데, 이는 미국 퍼싱과 중국 DF-15 등 다른 MARV에도 있는 특징이다.
한편 이스라엘에서 개발한 스파이크급 미사일은 한국군이 2010년 서북도서에 배치했으며, 20km 떨어진 표적(3.2m x 2.5m 크기)을 정확하게 명중할 수 있어 갱도 안의 해안포와 방사포를 격파하는 데 사용되는 무기이다.
지난해 10월 북한 노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는 북한이 스파이크급 미사일을 경장갑차에 탑재한 모습이 식별됐는데, 이번에는 함정에도 장착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다.
북한은 이번 전람회에서 주목할만한 무기로 지난달 28일 시험발사한 극초음속 미사일도 공개했다. 극초음속 미사일의 1단은 길이 15미터로 탄두에 해당하며 노란색 줄무늬가 있는 뾰족한 형태의 활공체(HGV)는 길이 7미터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