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포격 11주년, '도발' vs '전투' 명칭 정치권서 논란

‘연평도 포격도발’에서 ‘연평도 포격전’으로 공식 변경 국민의힘 “현 정권의 대북 정책 탓에 국민 안전 위협”

2021-11-24     오동준 기자
23일 열린 연평도 포격전 11주년 행사.(사진=해병대사령부 제공)

[국방신문=오동준 기자] 23일 11주년을 맞은 '연평도 포격전 전투영웅 추모식 및 전승기념식'이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가운데 명칭을 둘러싼 논란이 정치권에서 불거졌다. 

그동안 ‘연평도 포격 도발’로 불렸던 이 전투를 두고 국방부는 지난 3월 31일 ‘연평도 포격전’으로 공식 명칭을 변경하란 내용의 공문을 각 부대에 하달했다.

이번 행사는 ‘연평도 포격전’으로 공식 명칭이 바뀐 뒤 치러진 첫 행사다.

지난 3월 서해수호의 날 행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불의의 피격에도 당당히 이겨낸 연평도 포격전 영웅들께도 마음 깊이 감사드린다”며 그동안 써왔던 '포격 도발' 대신 '포격전'이란 용어를 사용한 후 국방부의 명칭 변경 조치가 나왔다. 

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는 “문재인 정권의 대북굴종 정책 탓에 우리 군은 미사일을 미사일이라 부르지 못하고 도발을 도발이라 부르지 못하는 홍길동 신세가 됐다”며 “정권교체를 통해 튼튼한 안보와 강한 국방으로 국민 안전을 반드시 실현시키겠다”고 밝혔다.

허은아 국민의힘 수석대변인도 “11년이 지난 오늘, 북한의 우리 국민에 대한 안보위협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위협에 대한 정부의 대응은 더 소극적”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이를 두고 북한은 자신들의 ‘연평도 포사격 전투 승리’라고 선전한다.

이에 대해 ‘포격 도발’은 우리가 일방적으로 당한 느낌이 있다며 명칭을 바꿔달란 해병대와 전사자 유족의 건의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