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영 통일 “종전선언, 베이징올림픽 전 성과 내는 게 좋아”
24일 기자간담회…“베이징올림픽 겨냥 추진 안 해, 연결 안했으면…” “정부 마지막까지 한반도 정세 안정, 평화 프로세스 진전 위해 노력” “내년 설에 어떤 형식이든 이산가족 상봉 실현 희망…북에 호응 촉구” 대북 코로나19 백신지원 정부 차원 본격적 검토 안한다는 입장 밝혀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정부가 종전선언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24일 “베이징올림픽에 가기 전에 성과를 내는 게 좋을 것"이라고 정부 고위 인사로는 처음으로 구체적 시기를 언급해 주목을 끌었다.
이 장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종전선언과 관련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평화올림픽이 되길 희망한다”며 정부의 구상을 이같이 밝혔다.
중국 베이징 동계올림픽은 내년 2월 4일부터 20일까지 열릴 예정이다.
그는 그러나 “종전선언이 내년 베이징올림픽을 겨냥해 추진하는 건 아니지 않겠냐”며 “베이징에서 종전선언을 하겠다,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영향을 받는 지로 연결하진 않았으면 좋겠다”고 강조해 언급한 그 시기가 아직은 유동적이고 정부의 희망사항임을 시사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와 관련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가서 하는 것보단 그 전에 종전선언을 하는 게 좋다는 판단”이라며 “한미 간 조율이 실무적으로 완성되면 그 다음에는 우리가 북쪽에 제안하는 과정이 당연히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 장관은 아울러 종전선언 내용과 관련 “종전선언에 어떠한 문구를 담을지는 협의 과정이고, 구체적으로 말하기 어렵다”고 말해 미국과 조율이 쉽지 않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는 이어 “문재인 대통령이 종전선언을 제안했고, 한반도 평화에 대한 교황 메시지를 통해 국제적 공감대도 이끌어냈다”며 “남북 간 통신연락선이 다시 재개되는 등 남북이 대화와 협력으로 나갈 수 있는 정세를 만들고 있다”고 남북관계가 이전보다 진전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와 관련 “문 정부는 마지막까지 한반도 정세 안정과 평화 프로세스의 진전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한반도 긴장 완화가 뒷걸음질 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테니 북측도 전향적 자세로 나가길 기대한다”고 북한의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그는 내년 5월 8일 끝나는 문재인 정부 임기 중 마지막 큰 명절인 내년 설날(2월 1일, 1월 29일~2월 2일 5일 연휴)에 맞춰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할 계획도 밝혔다.
그는 “내년 설에는 대면과 화상 어떤 형식이든 이산가족 상봉이 실현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며 “북측의 호응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통일부 고위당국자는 이와 관련 북한이 현재까지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고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최근 “통일을 지향하는 것이 늦었다”는 이른바 ‘실기론(失期論)’ 발언에 대해 “아주 빠른 급속한 통일보다는 점진적 통일, 준비된 통일을 하자는 취지로 이해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또 최근 일각에서 통일부라는 부처 명칭을 남북관계부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남북관계의 특별한 의미를 고려하면 통일부란 명칭을 쓰는 게 더 본질적이며 현실적”이라고 조심스럽게 반론을 폈다.
그는 그리고 대북 코로나19 백신 지원 문제와 관련 정부 차원에서 본격 검토는 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을 보였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와 관련 “우리나라가 현재 부스터샷을 시작하는 등 여러 상황을 검토해야 한다”며 “대북 백신 지원은 수량과 종류가 모두 중요할 것으로 보이며, 국민의 공감대를 얻는 가운데 추진할 것”이라고 추가로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