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공격헬기 바이퍼, 한국 해병대 상륙공격헬기 노린다
벨측 “미국 해병대도 AH-1Z 바이퍼 운용…연합 작전 적합”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미국 헬기 제조업체 벨이 내년 한국 해병대 항공단이 도입 추진하는 상륙공격헬기 기종으로 자사의 공격헬기 선정을 위해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네이트 그린 벨 선임매니저는 9일 화상 기자간담회에서 “미국 해병대가 공격헬기를 모두 바이퍼로 전환하고 있다”며 “한국 해병대도 이를 도입할 시 긴밀한 협력으로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사 공격헬기 AH-1Z 바이퍼가 한국 해병대가 도입할 상륙공격헬기 기종으로 적합하다고 주장한 것이다.
벨 측은 바이퍼가 탑재한 헬파이어 미사일, APKWS 레이저 유도 로켓 등 정밀 유도 무기와 AIM-9 사이드와인더 공대공 미사일 등도 강점으로 꼽았다.
그린 선임매니저는 “미 해병대가 운용하는 바이퍼는 총 189대이며 2040년대까지 미국 해병대에서 계속 사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내년부터 해병대 상륙작전에 투입해 지상과 궁중의 위협을 타격하는 임무를 맡게 될 상륙공격헬기 24대를 도입할 방침이다.
한국 해병대가 바이퍼를 선택한다면 한미 양국 해병대의 연합 작전 운용성은 물론 부품 호환성에서도 유리하다는 것이 벨 측의 주장이다.
빈스 토빈 벨 방위산업 부사장은 “바이퍼는 플랫폼 제조공정에서부터 완벽히 해양 환경에 적합하게 개조했다”며 “염수 부식의 역효과를 견디면서 선상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방기술품질원은 2차 선행연구에서 국산 상륙기동헬기 마린온에 무장을 탑재한 ‘마린온 무장형’으로 조달하는 게 합리적이라고 결론내렸다.
이는 벨의 바이퍼나 보잉의 AH-64E 아파치 중 하나를 해외 구매하는 게 적합하다는 1차 선행연구 결과를 뒤집는 것이었다.
해병대 상륙공격헬기 사업은 2015∼2016년 1차 선행연구, 2018∼2019년 2차 선행연구를 거쳐 현재 사업추진기본전략안을 수립하는 단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