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방부 “한국 동맹군과 다양한 안보 합동계획 정기적 수립”
마이너스 대변인, 에이브럼스 전사령관의 “새 작전계획에 중국 대응방안 포함” 주장 논평 전작권 전환 관련 한국군의 군사적 역량 ‘부족’ 지적에 “그에게 직접 문의하라” 즉답 피해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미국 국방부는 29일(현지시간) 한국 동맹군과 다양한 안보 문제에 대한 합동계획을 정기적으로 수립하고 있다고 밝혔다.
마틴 마이너스 미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로버트 에이브럼스 전 주한미군사령관이 미국의소리‘(VOA) 한국어 서비스 ‘워싱턴 톡’ 프로그램에 출연해 새 작전계획에 중국 대응 방안도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한 데 대한 논평 요청에 이같이 말했다.
에이브럼스 전 사령관은 지난 25일 방송된 VOA 인터뷰에서 작전계획 갱신이 필요한 이유로 북한의 새로운 위협과 함께 중국 공산당의 통제와 지휘를 받는 인민해방군을 거론, “2010년 이후 한반도와 그 주변에서 중국이 그들의 존재감을 크게 늘린 것은 비밀이 아니다”며 “현재의 전략계획지침(SPG)에는 없는 내용"이라고 주장했다.
에이브럼스 전 사령관은 이와 관련 “지난 3년 동안 중국이 한국 방공식별구역을 침범한 사례가 300% 늘었다. 우리는 북방한계선(NLL)을 따라 불법조업을 하는 중국 어선들의 증가도 목격하고 있다”며 “따라서 이 모든 것은 작전계획에서 다뤄야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이너스 대변인은 “일반적으로 진행 중인 운영계획이나 기타 민감한 보안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면서 이 사안에 대해 제53차 미-한 안보협의회(SCM) 공동성명 내용과 지난 2일 공동 기자회견에서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의 발언을 참조하라고 말했다.
서욱 국방부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부 장관은 지난 2일 서울에서 제53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를 마친 뒤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전략환경 변화에 따른 다양한 안보 도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데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했다”며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 상시 준비태세 유지, 연합방위능력 향상, 관련 작전계획을 최신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양 장관은 그러면서 “전략환경 변화를 반영한 이 전략기획지침(SPG)은 동맹의 기획노력에 지침을 제공할 것”이라며 작계 수정·보완을 위한 “새로운 SPG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마이너스 대변인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관련 한국군의 군사적 역량이 부족하다는 에이브럼스 전 사령관의 주장에 대해서도 그에게 직접 문의하라고 즉답을 피했다.
에이브럼스 전 사령관은 이와 관련 “한국의 4성 장군이 이끌 미래의 연합사가 연합 방위군을 이끌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두 번째 조건은 한국이 전략 타격능력을 획득하고 한국형 통합 공중미사일방어 체계를 개발해 배치해야 한다는 점”이라며 “이것은 솔직히 많이 뒤처져 있다”고 평가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