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곳 국립묘지 시설, 운영 크게 바뀐다...배수·안장 방식 등

‘국립묘지 관리·운영 종합대책’ 마련·시행 대전현충원 올해 집수정·밀봉유골함 도입 시범적용 중인 ‘자연장’, 내년까지 6곳 추가 전국 11곳 안장·의전·관리·민원 업무표준화

2022-02-10     오동준 기자
국립 대전현충원. (사진=국가보훈처 제공)

[국방신문=오동준 기자] 전국 11곳의 국립묘지의 시설과 운영 방식이 크게 바뀐다. 

국가보훈처는 ‘국립묘지 관리·운영 종합대책’을 마련해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

먼저 보훈처는 장마 등으로 인한 국립묘지 묘역에 물고임 발생과 지하수위 상승을 막기 위해 배수시설을 개선한다.

대전현충원에는 올해 중에 배수를 확인하는 집수정(集水井) 등을 설치하고, 다른 국립묘지들도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연차적으로 배수시설이 보강될 예정이다.

또 유골함의 침습(浸濕) 방지를 위해 진공 열처리로 밀봉하는 방식을 도입한다.

이 방식은 이달 대전현충원에서부터 적용되며, 다른 국립묘지는 진공 장비를 완비해 4월부터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안장방법에 있어서도 변화가 있을 계획이다.

보훈처는 “자연장을 6곳 국립묘지에 추가로 조성하겠다”며 “이천호국원을 비롯한 5곳 호국원은 올해 말까지 자연장을 조성하고, 대전현충원은 행정절차를 마치고 내년까지 완료하겠다”고 설명했다.

자연장은 화장한 유골을 한지 유골함에 이관해 잔디 아래에 안장하는 방식으로, 현재 괴산호국원에서만 2020년 12월부터 시범사업으로 운영 중이다.

11개 국립묘지별로 다른 업무방식도 대전현충원을 중심으로 표준화된다.

각각 다르게 운영되는 안장·의전·시설관리·민원처리 등을 ‘국립묘지 업무편람집’을 새로 만들어 오는 4월부터 통일된 방식으로 업무를 처리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밖에도 올해부터 제공된 ‘안장자 위치 찾기’ 서비스를 확대할 것이며, ‘안장정보시스템’에는 오는 3월부터 28만여 명의 안장자 공적 정보를 추가하겠다고 밝혔다.

보훈처는 이번에 마련된 종합대책을 통해 “국립묘지가 국가유공자의 마지막을 보다 품격 있게 예우하는 추모 공간이자 선열들을 본받는 교육의 장이 되도록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