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강군 건설” D·N·A 기반해 국방분야 디지털 대전환
국방부·과기정통부, 4차위에서 ‘D·N·A기반 스마트국방 전략’ 발표 데이터(D)·네트워크(N)·인공지능(A) 필수전략기술 국방분야 확산 D·N·A 신기술 국방 분야 선도적 적용…민간 개발 기술 군에서 실증 올해 1003억원 예산 투입…관련 예산 앞으로도 지속적 확대 계획
[국방신문=김응조 전문기자] 정부가 스마트 강군 건설과 디지털 신시장 창출을 목표로 데이터(D)·네트워크(N)·인공지능(A) 등 국가 필수전략기술의 국방분야 확산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국방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열린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이하 4차위) 제27차 전체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국방분야 디지털 대전환을 위한 ‘D·N·A기반 스마트국방 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이 전략 추진에 올해 1003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관련 예산을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발표한 전략에 따르면 D·N·A 신기술을 국방 분야에 선도적으로 적용하고, 전 군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디지털 신기술의 가늠터(Test bed)로서 민간에서 개발한 기술을 군에서 실증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적용 타당성이 입증된 과제는 즉시 적용하거나 보완이 필요한 요소는 1~2년에 걸쳐 추가 개발하는 것과 동시에 확산을 병행할 예정이다.
두 부처는 이를 위해 공동의 국방 정보통신기술 연구개발 전용 사업을 신설, 올해부터 2025년까지 4년 동안 과기정통부 204억원, 국방부 165억원 등 총 369억원의 예산을 국방 디지털 혁신기술 개발사업에 투입하기로 했다.
또 두 부처는 스마트국방의 기반이 되는 국방 디지털 인프라의 고도화에도 함께 나선다.
군 통신망과 통합 데이터센터의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국방 분야에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군용망과 상용 5G간 연동기술, 보안기술 개발에 착수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4년동안 연동기술에는 총 204억원을, 보안기술에는 총 75억원을 각각 투입한다.
이와 함께 국방 디지털 전환의 주체인 군 장병의 D·N·A 역량 강화 차원에서 인공지능(AI)·소프트웨어 전문인력 1000명과 정보통신기술(ICT) 예비산업인력 5만명 양성 계획도 내놨다.
이를 위해 소위에서 대령까지 위·영관급 장교들의 정보통신기술(ICT) 소양 교육을 의무화하고, 일반 병사와 장단기복무 간부 등을 대상으로 한 인공지능(AI)·소프트웨어 온라인 교육플랫폼도 구축한다.
또 국방 정보통신기술(ICT) 연구개발 사업 기획·관리 전문성을 강화하고, 실증을 거친 기술의 확산사업 착수까지 소요되는 기간을 기존 3년에서 1년으로 단축하는 등 관련 규정을 개정해 D·N·A 기술이 군 전력으로 신속하게 확산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기로 했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기술 패권경쟁 시대에 디지털 기술력은 국가 안보차원에서도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5세대 이동통신 기술(5G)·인공지능(AI) 등 국가 필수전략 기술을 적극 육성하는 한편, 민간의 혁신기술이 국방 분야로 확산되어 관련 기업의 성장과 국방 디지털 대전환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국방부와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욱 국방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 기반의 첨단 디지털 기술은 미래전을 주도할 게임체인저”라며 “디지털 기술 뿐만 아니라 디지털 인프라 및 인공지능(AI)·소프트웨어 전문인력 전반에 걸쳐 과기정통부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스마트국방 혁신을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