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 F-35A 불시착 원인 "충돌 독수리가 내부 차단벽 파손"
10kg 무게 독수리, 기체 충돌 후 공기흡기구 빨려들어가 공군 “충격량 약 30t”…무장적재실 파손, 대참사 날뻔 해 한미공동조사단 투입…현장·잔해·진술·비행자료 등 확인 “기체결함·조종실수 없어”…향후 제작사와 운용방안 논의
[국방신문=오동준 기자] 지난달 4일 기체 이상으로 비상착륙한 공군 F-35A 전투기의 사고 원인이 독수리 충돌인 것으로 조사됐다.
공군은 사고 당시 서산기지에 비상착륙한 F-35A 기체 이상의 주된 원인이 좌측 공기흡기구와 무게 10kg에 달하는 독수리의 충돌이라고 3일 밝혔다.
충돌 후 독수리는 흡입구와 무장적재실 사이에 있던 기체 격벽(차단벽)을 뚫고 내부로 빨려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무장적재실은 항공기 무장을 탑재하는 공간으로 내부 격벽에 랜딩기어(착륙장치) 작동 유압도관, 전원공급 배선 등이 함께 위치해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었다.
공군 관계자는 “연료를 탑재해 20t이 넘는 항공기가 10kg 조류와 충돌하며 받는 충격량을 환산하니 약 30t이었다”고 설명했다.
이 충격으로 조종·항법계통 성능 저하, 랜딩 기어 미작동 등의 결함이 일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조종사인 배 모 소령은 항공기 결함을 인지한 직후 인구밀집 지역을 회피해 서해상을 따라 비상착륙을 준비했다.
랜딩기어가 작동하지 않는 상황이라 조종사는 서해 해안선을 따라 공군 서산기지로 접근해 활주로에 동체착륙을 성공했다.
동체착륙은 비행기의 동체를 직접 지면에 접촉해 착륙하는 방식이다.
이번 조사는 비행·정비·항공관제 분야의 국내 전문요원 12명과 미 정부·공군·항공기회사 관계자 14명 등으로 한미 공동조사단을 꾸려 진행됐다.
공군에 따르면 조사단은 사고 현장, 항공기 잔해, 비행기록장치의 비행자료, 관제레이다 항적 자료, 조종사의 진술 분석 등을 통해 사고 원인을 규명했다.
공군은 “조사 결과 조류충돌로 인해 손상된 점 외에 항공기 결함이나 조종사 실수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공군은 F-35A 무장적재실 내 이물질로 인한 충격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유사시 랜딩기어의 정상적인 작동과 보조 작동 시스템의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을 항공기 제작사 측과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