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바이든 회동 무산 '논란'…물밑에서 무슨 일 있었나?
설리번 백악관 보좌관 “문 전 대통령과 예정된 회동 없어” 윤건영 의원 “미측 연락 사실…문 전 대통령은 가만 계셨다” “청와대가 최종 확정 전 서둘러 공개해 빚어진 결과” 지적도 박민영 국민의힘 대변인 “왜 불필요한 논란 만드는가” 꼬집어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22일 방한 기간에 추진했던 것으로 알려진 문재인 전 대통령과 회동이 무산되면서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문 전 대통령 측 관계자는 19일 “이날 정오쯤 백악관 측으로부터 ‘면담 추진이 어렵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지난 3월 백악관 측에서 문 전 대통령을 개인적으로 만나고 싶다고 해서 면담을 추진해 왔다”고 추진 과정을 설명했다.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18일(현지시간) 한일 순방 관련 브리핑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방한 기간 중 문재인 전 대통령을 만날 것이란 한국 언론들의 보도에 대한 질문을 받고 “지금으로서는 문(재인) 전 대통령과 예정된 회동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바이든 대통령이 문 전 대통령에게 ‘대북 특사’를 제안할 가능성이 있다는 보도와 관련 한미 간 이런 논의가 있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그런 내용에 관한 어떤 논의도 알지 못한다”고 선을 그었다.
문 전 대통령 측근인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9일 이와 관련 MBC라디오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보자고 연락온 건 분명한 사실”이라며 “미국 측에서 정확히 답변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분명한 건 문 전 대통령은 가만히 계셨다는 것”이라며 이번 회동은 미국측이 제안도 먼저 했고, 취소 또한 일방적으로 내린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는 문 전 대통령 측의 이른바 ‘자가발전설’을 적극 부인한 것이다.
윤 의원은 진행자가 ‘그러면 미국이 입장을 바꿨다는 것이냐’고 이유를 묻자 “여러 가지 추측은 된다”면서도 더 이상 언급하지 않았다.
이어 “바이든 대통령이 문 전 대통령과 관계, 한미동맹 상황을 고려해서 뵙자고 했다가 무슨 상황인지 몰라도 백악관이 그럴 계획이 없다고 발표했다”며 “더 확인해봐야 될 것 같다”고 미국 측 사정으로 추정했다.
윤 의원은 또 문 전 대통령의 ‘대북특사론’에 대해 “미국 대통령이 이야기할 것은 아니고, 윤석열 정부가 답을 해야 한다”며 “북한의 코로나 상황이 특사를 받을 조건이 전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선 청와대 측이 문 전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회동 일정이 최종 확정되기도 전에 외교적 관례를 벗어나 서둘러 이 사실을 공개해 빚어진 결과로 불필요한 외교적 논란을 불러왔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문 전 대통령의 퇴임 전인 지난달 28일 당시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바이든 대통령이 윤 당선인과 일정을 마친 뒤 문 대통령도 만나는 방향으로 일정을 조율 중”이라며 “퇴임 대통령과 만남이기 때문에 무거운 의제보다는 서로 간의 회포를 푸는 성격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탁현민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도 지난 6일 CBS라디오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이번에 (만나자는) 요청이 왔다”고 확인했었다.
그러면서 진행자의 ‘바이든 대통령이 요청을 먼저 한 것이냐’는 질문에 “그건 당연한 거죠. 요청이 들어왔기 때문에 지금 장소와 형태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거듭 말했다.
박민영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현직’ 미국 대통령이 ‘전직’ 한국 대통령을 만날 일이 없는 게 당연지사”라며 “아이들 인맥 자랑하는 것도 아니고 왜 불필요한 논란을 만드는가”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