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 외교 “IPEF, 중국 따돌리는 자리 아냐...소외감 없앨 것”
“국익·원칙 의해 한중 관계 발전시킬 계획” “전략적 소통으로 협력하는 게 우리 외교” “한미·한중 간 관계는 제로섬 게임 아니다” 23일 IPEF 출범...한미일 등 13개국 참가
[국방신문=오동준 기자] 외교부가 미국 주도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는 중국을 따돌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23일 외교부 청사에서 진행된 한미정상회담 결과 브리핑에서 IPEF에 대해 “중국이 소외감을 느끼거나 배척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어떤 특정국, 중국을 배척하거나 겨냥하는 것은 아니라는 취지로 진행되고 있다”며 “한국 입장에서는 이 지역 전체의 상생과 공영을 위해 중국과도 긴밀히 소통해 가면서 상호존중과 협력의 정신을 바탕으로 국익과 원칙에 따라 중국과 앞으로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이) 새롭게 형성되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질서와 규범을 존중하면서 책임 있는 국가의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며 “그것이 결국 한중 양국의 건강하고 성숙한 관계를 만드는 데 도움된다”고 언급했다.
IPEF는 미국이 인도·태평양 역내 국가들과 디지털무역·공급망·기후변화 등 다양한 의제에 대한 새로운 통상규범을 만들기 위한 경제협력체다.
중국에서는 IPEF 관련 논의 초기부터 이 협의체가 자국을 견제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해 경계해왔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우리 정부가 IPEF 참여 의사를 밝힌 직후 “미국이 중국의 주변 환경을 바꾸겠다고 하는 목적은 중국 포위에 있다”며 “아·태 지역 국가를 미국 패권주의의 앞잡이로 만들려는 것”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이와 관련 박 장관은 “얼마 전 왕 부장과 화상통화에서 1시간 넘게 대화를 하고 한중관계를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 것인지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며 “중국과 전략적 소통을 통해 우려를 해소하고 상호 존중하며 협력을 바탕으로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우리 외교의 몫”이라고 강조했다.
박 장관은 한미정상회담 관련 한미동맹 격상에 따른 한중관계에 관련한 질문에는 “한미 동맹이 강화됐다고 해서 한중 관계를 등한시하겠다는 것은 아니다”라며 “미국과 중국의 관계가 한국에게는 제로섬 게임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바이든 대통령도 ‘중국과는 대립을 원치 않고, 공정하고 진정한 경쟁을 원한다’는 표현을 썼다”고 덧붙였다.
한편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오후 일본 도쿄에서 ‘번영을 위한 IPEF’ 출범 행사를 주재하고 공식 출범을 알렸다.
참여국은 한미일 3국을 비롯해 호주, 인도,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등 13개국이다.
이들 참여국의 국내총생산(GDP)의 합은 전 세계의 40%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