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 외교 “북 미사일에 국제사회 강력, 단호 대응 주도해야”

외교부,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 관련 부처 차원 대책회의 열어 “주요국과 긴밀한 공조 유지…안보리 결의 채택 신속히 추진” “한미 공조, 연합방위태세로 주요국과 공동 대응 방안 마련”

2022-05-25     송국진 기자
박진 외교부 장관이 25일 서울 외교부 상황실에서 열린 북한 미사일 발사 관련 부처 내 대책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박진 외교부 장관은 25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3발 발사에 대해 ‘엄중한 상황’이라며 “주요국과 긴밀한 공조를 유지하면서 국제사회의 강력하고 단호한 대응을 주도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장관은 이날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북 미사일 발사 관련 외교부 차원의 대책회의에서 “3월 24일 북한의 ICBM 발사 이후에 안보리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는 신규 (대북제재) 결의가 채택될 수 있도록 우방국들과 공조를 신속하게 추진해 달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북한이 이렇게 명백하게 안보리 결의를 계속 위반하는 상황에서 안보리가 더 이상 단호한 대응을 주저해서는 안 된다”며 “이런 공감대를 관련 국가에 적극 형성하고, 조속한 시일 내에 구체적인 결의를 만들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긴밀한 한미 공조 하에 굳건한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하고 주요국들과 공동의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향후 대응 방안을 긴밀히 협의하고 공조해 나갈 수 있도록 신속한 조치를 취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또 “북한의 추가 도발 동향과 코로나 상황 등 북한 정세를 면밀히 모니터하는 한편 해외에 있는 우리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재외국민 보호에도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주문했다.

그는 그러면서 북한을 향해 “지속된 도발은 더욱 강력하고 신속한 한미 연합 억제력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음을 깨달아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날 한반도평화교섭본부에서는 북한이 발사한 탄도미사일 제원과 대응조치 등을 보고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와 관련 “유엔 안보리 차원 외에도 한미 차원에서 또는 우리 자체적으로 할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이 있는지 보고했다”고 전했다.

또 유엔 외교를 담당하는 외교부 다자외교조정관실에서는 안보리에서 새 대북제재 결의 추진 및 회의 소집 관련 동향, 향후 계획 등을 보고했다.

이날 회의에는 외교부 조현동 1차관과 이도훈 2차관을 비롯해 김건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미국·일본·중국·러시아 등을 담당하는 지역국 국장, 안보리 담당 실·국장, 재외국민 안전 담당 국장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