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외교차관, 북 7차 핵실험 땐 “신속, 강력 대응”
7일 한미 외교차관 회담서 북핵 대응‧‘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 심화 논의 조현동 외교차관 “북과 핵 군축협상 있을 수 없는 일…완전한 비핵화 추구” 웬디 셔먼 부장관 “북한 핵실험에 전세계가 강력하고 명료하게 대응 믿어”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북한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7차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한미는 “신속하고도 강력한 대응이 있을 것”이라고 7일 경고했다.
조현동 외교부 1차관은 지난 6일 방한한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과 이날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회담에서 북핵 대응 방안과 한미 ‘글로벌 포괄적 전략 동맹’ 심화 방안을 논의한 뒤 이같이 밝혔다고 외교부가 이날 전했다.
이날 한미 외교차관 대면 회담은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처음이다.
한국 측에서 임상우 외교부 북미국장과 이태우 북핵외교기획단장 등이, 미국 측에서는 킨 모이 미국 국무부 동아태 수석부차관보와 애덤 패러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한반도·몽골 담당 보좌관 등이 각각 배석했다.
조 차관은 북한이 비핵화 협상을 군축협상으로 전환하기 위해 핵 능력을 고도화한다는 지적에 대해 “국제사회는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북한과 핵 군축협상을 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미국은 물론 6자회담 참여국도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추구한다”는 원칙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북한이 핵 실험을 실시한다면 우리는 미국, 국제사회와 공조해 추가적인 제재를 검토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이와 더불어 한미 방위태세 차원에서 추가적 조치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셔먼 부장관은 조 차관과 회담 뒤 기자들과 만나 “북한 핵실험은 세계 안보를 매우 불안정하게 만들 것”이라며 “한국과 미국, 일본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강력하고 명료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그는 8일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가 예정돼 있다는 사실을 거론하며 “우리는 완전히 공조하고 있으며,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고 거듭 밝혔다.
그는 ‘미국과 동맹국들이 북한의 7차 핵실험에 대비해 어떤 공동 비상계획(contingency plan)을 마련했느냐’는 질문에 “북한은 알게 될 것”(I think North Korea will find out)이라고 짧게 답했다.
그는 아울러 “모든 도발에 대해 미국 뿐만 아니라 한국, 일본 그리고 다른 여러 국가와 함께 대응해 나갔다”며 지난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대북 제재 결의안이 15개 이사국 중 13개국이 찬성한 사실을 언급했다.
그는 “모든 국가가 핵 실험에 대해 상당히 우려하고 있다”며 “이는 한반도뿐만 아니라 세계의 관심사”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나는 한국 국민들에게 우리(한미)가 한반도의 비핵화를 위해 완전히 단결돼 있다는 것을 알리며 안심하라고 당부하고 싶다”며 “동시에 우리는 세계 모든 국가의 평화와 번영을 보장하기 위해 전제조건 없는 협상에 열려 있다”고 설명했다.
조 차관과 셔면 부장관은 오는 8일 일본의 모리 다케오(森健良) 외무성 사무차관과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를 서울에서 갖는다.
이 자리에서는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책 외에 역내·글로벌 현안 대응을 위한 3국 협력 강화 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다.
한편 셔먼 부장관은 8일 한미일 3국 외교차관 회담 후 통일부를 방문해 김기웅 통일부 차관과도 면담이 예정돼 있다.
이 자리에선 북한 도발 등 현안과 한반도 정세, 대북정책 관련 협력과 공조 등에 관한 의견 교환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셔면 부장관은 이와 별도로 통일부 방문 때 권영세 장관도 예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셔먼 부장관은 14일까지 아시아 순방 일정이 잡혀 있으며, 한국 일정이 끝나면 필리핀으로 이동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