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에 한미일 국방장관 회담…북 위협 3각 공조‧협력 논의

이종섭 국방, 10~12일 싱가포르 ‘아시아안보회의’ 참석 3국 ‘안보협력 증진방안’ 의제…연합훈련 제기 가능성도 북 비핵화, 한반도 평화체제 등 새 정부 대북 정책 소개 한미 양자회담도…미 인‧태 전략과 위협 대응 방향 협의 한중 국방 수장 회담 조율 중…한일 회담은 하지 않기로 나토, 우크라 대표도 참석…‘글로벌 중추국가’' 역할 제시

2022-06-08     송국진 기자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장관, 이종섭 국방부장관, 기시 노부오 일본 방위상(왼쪽부터).(자료 사진=연합뉴스)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북한의 7차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전망이 유력한 가운데 한미일 3국 국방장관이 싱가포르에서 회동한다.

8일 국방부에 따르면 이종섭 국방장관은 오는 10일부터 사흘간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제19차 ‘아시아안보회의’(일명 샹그릴라 대화)에 참석한다.

이 장관은이 회의 기간 중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 기시 노부오(岸信夫) 일본 방위상과 한미일 국방장관 회담에 참석해 만나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는 공조 및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한미일 국방장관 대면 회담은 2019년 11월 이후 2년6개월여 만이다.

한미일 국방장관 회담에서는 3국 간 ‘안보협력 증진방안’이 포함돼 미국 또는 일본이 3국 군이 참가하는 연합훈련 문제를 거론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 정부는 그러나 일본이 참가하는 3국의 군 연합훈련은 아직 시기상조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할 것으로 보인다.

이곳에서 열릴 한미 양자회담에서는 북한과 역내 정세 평가와 함께 북한의 위협 대응방향 등을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것으로 주요 의제가 정해졌다.

아울러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이 지역의 위협에 대한 대응 방향도 협의한다.

한일 국방장관 간 양자회담은 열리지 않는다.

이 장관은 또 웨이펑허(魏鳳和) 중국 국방부장(장관)과도 양자 회담을 할 계획으로 시간과 의제 등을 조율 중에 있다.

한중 국방장관 대면 회담도 2019년 11월 태국 방콕에서 열린 후 역시 2년6개월여만에 열리는 것이다.

우리 정부는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하는 등의 도발을 하지 않도록 중국이 역할해 줄 것을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자리에서 중국 측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를 다시 거론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8일 국회에서 열린 ‘북 도발 관련 국가안보 점검 제2차 당·정·대 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국회사진기자단)

한편 나토와 우크라이나는 각각 우리 측에 회담을 요청했으나 일정 문제로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국방부 관계자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전향적인 지원방안을 유관기관과 논의하고 있다”며 “그 경과에 따라 현장에서 이 장관이 우크라이나 지원방안을 발표·회담에 반영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 장관은 이 회의의 마지막 날인 12일 ‘아태지역 및 유럽에서 공통의 국방도전’이란 주제의 본회의 제6세션에서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등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을 설명한다.

이 장관이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국제 다자안보회의에 참석하는 장관급으로 새 정부의 대북정책 등의 소개에 나서는 것이다.

이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이 밝힌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역할에 관해 다자안보회의 무대에서 처음으로 밝힐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국방부 관계자는 “앞서 한미 정상회담에서 우리가 인도태평양 전략을 짜고(formulate) 있다고 처음 공개했다”며 이 장관이 이를 재확인하고 “어떠한 기조에 따라 전략을 만드는지, 지역과 대상 등 몇 가지 포인트를 밝힐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시아안보회의는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주관으로 2002년부터 매년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다자안보회의다. 이 회의는 현지 샹그릴라 호텔에서 열려 ‘샹그릴라 대화’로도 불린다.

이번 회의에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 일본, 중국, 호주, 뉴질랜드 등 약 40개국 대표가 참석한다.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군사위원장과 우크라이나 외교차관도 참석이 예정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