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북 비핵화 협상 준비 돼 있어”…尹 제안 '북 호응' 기대
고위당국자 기자들에 설명 “북의 능동적 협상 여건 만들겠다는 것” “북 이익에 부합해 호응할 것…상응조치에 대한 아이디어 마련 중” 대북 제재 면제 “결정은 유엔 안보리서…협의할 생각은 갖고 있어”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외교부가 17일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내놓은 ‘담대한 구상’과 관련 북한과 비핵화 협상 준비가 돼 있다며 북한의 호응 기대를 나타냈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담대한 구상’에 대해 “비핵화에 대한 협상이 준비가 돼 있고 상응조치에 대한 아이디어를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북한이 능동적으로 협상에 나올 수밖에 없는 여건을 만들겠다는 게 우리의 그림”이라며 “북한의 이익에 부합하기에 호응을 해 올 거라고 생각한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앞서 윤 대통령은 북한에 ‘담대한 구상’을 제안하며 ‘북한에 대한 대규모 식량 공급 프로그램’, ‘발전과 송배전 인프라 지원’, ‘국제 교역을 위한 항만과 공항의 현대화 프로젝트’, ‘농업 생산성 제고를 위한 기술 지원 프로그램’, ‘병원과 의료 인프라의 현대화 지원’, ‘국제투자 및 금융 지원 프로그램’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이와 관련 “북한이 진정성을 가지고 비핵화 협상에 나올 경우 초기 협상 과정에서부터 경제지원 조치를 적극 강구한다는 점에서 과감한 제안”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 당국자는 “제일 중요한 건 준비가 돼 있다는 신호”라며 “한미 간에도 긴밀히 협의가 돼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관련 국과도 소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이 비핵화 협상에 진정성 있는 태도로 나온다면 ‘한반도 자원·식량 교환프로그램’(R-FEP) 가동을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들과 제재 면제를 협의해볼 수 있다는 외교부의 입장도 전했다.
이 당국자는 이와 관련 “우리 혼자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라, 결정은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들이 해야 한다”며 대북 제재 면제에 대해 “협의할 생각은 갖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우려를 해소, 해결 또는 대응해 줄 수 있는 여러 아이디어를 담은 패키지를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