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위협 받는 ‘자유’에 국제사회 연대” 역설…첫 유엔총회 기조연설
‘자유와 연대:전환기 해법의 모색’ 제목으로 10번째로 연단 올라 “세계 시민의 자유와 평화 위협…심각한 글로벌 위기에 직면해” “한국, 국제사회 책임 있는 일원…자유‧번영 위해 역할 다할 것”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별도 면담…뉴욕 동포와 만찬 간담회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세계 시민이나 국가의 자유가 위협 받을 때 국제사회가 연대해 그 자유를 지켜야 한다”고 역설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취임 후 처음으로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7차 유엔총회에서 10번째 기조연설자로 나서 ‘자유와 연대:전환기 해법의 모색(Freedom and Solidarity: Answers to the Watershed Moment)’이란 제하의 연설로 유엔 무대에 데뷔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오늘날 국제사회는 힘에 의한 현상 변경과 핵무기를 비롯한 대량살상무기, 인권의 집단적 유린으로 또다시 세계 시민의 자유와 평화가 위협받고 있다”고 저적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자유와 평화에 대한 위협은 유엔과 국제사회가 그동안 축적해온 보편적 국제 규범 체계를 강력히 지지하고 연대함으로써 극복해 나가야 한다”고 호소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이번 유엔총회의 주제인 ‘분수령의 시점’은 우리가 직면한 글로벌 위기의 심각성을 대변한다”며 “동시에 유엔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막중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와 관련 “우리가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출발점은 우리가 그동안 보편적으로 받아들이고 축적해온 국제규범 체계와 유엔 시스템을 존중하고 연대하는 것”이라는 해법을 제시했다.
윤 대통령은 또 “진정한 자유는 속박에서 벗어나는 것만이 아니라 자아를 인간답게 실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이고, 진정한 평화는 단지 전쟁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인류 공동 번영의 발목을 잡는 갈등과 반목을 해소하고 인류가 더 번영할 수 있는 토대를 갖추는 것”이라며 인류가 진정한 자유와 평화에 다가서기 위한 유엔의 역할을 부각시켰다.
윤 대통령은 이어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으로서 세계 시민의 자유와 국제사회의 번영을 위해 책임과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
윤 대통령은 아울러 한국이 “유엔의 노력 덕분에 이렇게 성장할 수 있었다”고 상기하고 “그러므로 대한민국은 세계 시민의 자유 수호와 확대, 그리고 평화와 번영을 위해 유엔과 함께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의 이날 연설은 한국 시간으로 21일 새벽 1시 51분쯤 시작해 각국 정상에 배정된 연설 시간인 15분보다 4분 짧은 11분만에 마쳤다.
윤 대통령은 앞서 연설에 나선 일부 다른 나라 정상들이 큰 손짓을 하는 등 제스처를 보였던 것과 달리 차분한 어조로 자신이 연설 키워드로 삼은 ‘자유’와 ‘연대’ 정신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윤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자유’를 21차례 사용했고, ‘유엔’은 20차례, ‘국제사회’는 13차례 각각 언급했다.
윤 대통령의 연설 중에 모두 7차례의 박수가 나왔으며, 연설이 끝난 후 박수는 약 10초 가량 이어졌다.
유엔총회장 11번째 줄에 배치된 한국 대표단 자리에 있던 박진 외교부 장관, 국가안보실 김성한 실장과 김태효 1차장 그리고 황준국 주유엔 대사 등이 중간중간 박수를 보내며 윤 대통령의 연설을 경청했다.
갈색 재킷에 검은색 바지 차림의 김건희 여사도 유엔총회장 특별석에 앉아 윤 대통령 연설을 들었다.
특별석에는 대통령실 강승규 시민사회수석, 최상목 경제수석 등이 김 여사와 함께 자리했다.
강인선 해외홍보비서관 등 우리 정부 관계자들이 4층 발코니석에서 윤 대통령의 연설을 지켜봤다.
윤 대통령이 연설하는 동안 연단과 가까운 두 번째 줄에 배치된 북한 대표부 자리는 비어 있었다.
윤 대통령은 유엔총회 연설 후 김용 전 세계은행(WB) 총재와 오찬을 하고,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별도 면담 시간도 가졌다.
윤 대통령은 이어 이날 저녁에 뉴욕에 거주하는 동포들과 가진 만찬 간담회에도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