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장거리순항미사일까지 “핵운용 능력” 과시...김정은 ‘현지 지도’
13일 공개…전날 평남 개천 일대서 장거리전략순항미사일 2기 시험발사 전술핵운용부대 작전배치 “성능‧위력 제고, 운용체계‧기술 안정성 재확증” “1만234초(2시간 50분 34초) 비행 후 2,000㎞ 계선의 표적 명중타격해” 김정은 “정밀 강위력한 반격으로 적 일거에 제압 실전준비태세 또 입증” 탄도미사일과 비교 장거리 비행, 타격 정밀도 높아…저고도로 요격 쉬워
[국방신문=한상현 전문기자] 북한이 전술핵 운용부대에 배치된 장거리전략순항미사일을 시험발사해 핵무력 사용 가능성 위협 수준을 한 단계 더 끌어 올렸다.
13일 조선중앙통신 보도에 따르면 북한은 전날인 12일 새벽 평안남도 개천일대에서 2기의 해당 미사일을 서해 상공으로 발사했으며,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현지에서 지도했다.
발사된 미사일은 설정된 타원 및 8자형 비행궤도를 따라 1만234초(2시간 50분 34초)를 비행해 2000㎞ 계선의 표적을 명중타격했다고 이 통신은 전했다.
아울러 “시험발사는 조선인민군 전술핵 운용부대들에 작전배치된 장거리전략순항미싸(사)일의 전투적 성능과 위력을 더욱 제고하고 전반적 작전운용체계의 믿음성과 기술적 안정성을 재확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됐다”고 이 통신은 설명했다.
북한이 이번에 발사한 장거리전략순항미사일을 두고 전술핵 운용부대들에 작전배치된 것이라고 주장하고 나서 전술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다는 역량을 과시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이날 시험발사 결과에 대해 “임의의 무기체계에 의한 무조건적이고 기동적이며 정밀하고 강위력한 반격으로 적들을 일거에 제압할 수 있는 철저한 실전준비태세를 또 다시 입증했다”고 만족스러운 평가를 내렸다.
그는 이어 “오늘 울린 미사일 폭음은 적들에게 또 다시 보내는 우리의 명명백백한 경고”라며 “우리 국가의 전쟁억제력의 절대적인 신뢰성과 전투력에 대한 실천적인 검증이고 뚜렷한 과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임의의 시각에 도래하는 그 어떤 엄중한 군사적 위기, 전쟁위기도 단호히 억제하고 주도권을 완전히 쟁취할 수 있게 핵전략무력 운용공간을 계속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끊임없는 국가방위력 강화는 나라의 존엄과 자주권, 생존권 사수를 위해 조금도 드틸 수 없는, 드티여서는 안될 일관하고 불변한 우리의 혁명방침, 투쟁기조”라며 “국가 핵전투무력의 무한대하고 가속적인 강화발전에 총력을 집중해야 한다”고 핵무력 강화 의지를 거듭 드러냈다.
그는 ‘현지 지도’ 후 시험발사에 참가한 부대원과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것으로 이들을 독려했다.
북한이 장거리순항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지난 1월 25일 이후 약 9개월만이다.
북한이 당시 발사한 순항미사일은 사흘 뒤 조선중앙통신 등 관영매체를 통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비행시간은 9137초(2시간 35분 17초), 비행거리는 1800㎞였다.
북한이 이번에 발사한 순항미사일은 이와 비교하면 약간 늘어나 비행 시간과 200㎞ 더 긴 거리를 날아가 그 사이에 연료 탑재량을 늘리는 식의 성능 개량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은 작년 10월 평양에서 열린 ‘국방발전전람회’ 때 신형 순항미사일이라며 2종류를 공개했으며, 이번 미사일은 그 중 한 종류로 보인다.
북한은 지난 8월 17일에도 순항미사일을 발사했으나 이 사실을 공개하지 않았고, 장거리도 아닌 것으로 우리군 당국에 의해 파악됐다.
순항미사일은 탄도미사일과 비교해 파괴력은 떨어지지만 상대적으로 장거리 비행이 가능하고 타격 정밀도가 높다는 것이 장점이다.
순항미사일은 또 이동식발사차량(TEL)에서 발사된 후 목표 상공에 진입하면 양쪽으로 날개가 펼쳐지면서 일정 속도로 저고도 비행을 하는 특성이 있다.
저고도인데다 탄도미사일보다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린 편이어서 한미 군 당국이 보유한 대응 자산인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또는 패트리엇(PAC-3) 미사일로 요격이 가능하다.
북한은 지난달 25일부터 지난 9일까지 잇따른 중·단거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로 한미 연합훈련에 대한 반발을 이어왔다.
북한이 보름 사이 7차례에 걸친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역시 전술핵 운용부대 훈련이었다고 밝힌 바 있어 이번 순항미사일 도발도 이 연장선으로 풀이된다.
북한은 이번 순항미사일 도발을 통해 전술핵 투발 수단이 탄도미사일 뿐이 아니라는 점을 부각시키려는 속셈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거기다 이번엔 김 위원장이 ‘현지 지도’에 나서는 것으로 도발 강도를 더 높인 셈이다.
한편 우리 군 당국은 실시간으로 관련 상황을 파악하고 감시와 경계 태세를 강화한 가운데 한미 공조 아래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군 당국은 그러나 북한의 이번 장거리전략순항미사일 시험발사 사실을 즉각 공개하지는 않았다.
군 당국은 구체적인 발사 시간, 사거리, 속도 등 세부 제원을 한미 정보자산이 탐지한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군 당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위반 대상인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의 경우만 곧바로 공개해왔다.
북한이 이번 발사한 순항미사일은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 대상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