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등 무인체계 민군 겸용 표준화 추진…통합관제체계도 구축
신범철 국방차관, ‘국방과학기술조정협의회’ 첫 회의 주재 ‘국방 무인체계 발전계획안’ 발표…군, 인프라 구축하기로 ‘기반체계 구축’ ‘기술개발·표준화’ ‘신속한 전력화’ 추진도 12개 중점 추진과제 제시…연내 무인체계 발전계획 확정 군사작전 활용 가능한 민수드론 도입하는 방안 등도 제안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국방부가 드론으로 대표되는 국방 무인체계 발전 방안으로 민‧군 겸용 표준화 추진과 통합관제체계 구축을 제시했다.
국방부는 15일 신범철 국방부 차관 주관으로 국방부 청사에서 국방과학기술조정협의회 첫 회의를 열어 ‘국방 무인체계 발전계획안’을 논의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국방부가 공개한 국방 무인체계 발전계획안은 군 무인체계 인프라 구축을 위해 구체적인 방안을 담은 첫 공식 문서로 평가되고 있다.
국방부는 이 계획안에서 ‘기반체계 구축’ ‘기술개발 및 표준화 추진’ ‘신속한 전력화 추진’ 3개 분야로 나눠 각각 6개, 3개, 3개씩 모두 12개 중점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상호운용성 확보, 주파수 확보, 보안체계 구축, 드론 통합관제체계 구축, 교육기반 구축, 운용·관리시스템 구축 등이 기반체계 구축 분야 중점과제로 꼽혔다.
기술개발 및 표준화 분야에서 중점 과제로는 핵심기술 개발, 민·군 겸용 표준화, 기술기획 거버넌스 정립 등을 꼽았다.
신속한 전력화 추진을 위해서는 시범부대 운용, 획득체계 및 제도 개선, 민·군 협력 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국방부는 이날 협의회에서 나온 국방 무인체계 발전계획에 대한 의견 수렴 등의 절차를 거쳐 연내에 국방 무인체계 발전계획을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이 자리에서 ‘민수드론 국내 현황 및 국방분야 활용 가능성’ 발표를 통해 군이 군용 드론 개발·획득뿐만 아니라 군사 작전에 활용할 수 있는 민수드론을 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 협의회는 4차 산업혁명 기술 등 첨단 과학기술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군에 적용하는 방안을 협의하고자 기존 ‘국방 AI 발전협의회’와 ‘국방 무인체계 발전협의회’를 올해 통합해 새로 출범한 기구다.
이날 회의에는 국방부를 비롯해 합참, 육‧해‧공군과 해병대사령부, 방위사업청, 한국국방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진흥연구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등 관련 주요 직위자와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신범철 차관은 이날 회의에 대해 “향후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무인체계를 군에 효율적으로 도입하고 원활하게 운용하기 위해 국방 무인체계 발전계획을 발표하고, 군 내는 물론 과기부, 산업부, 국토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논의하게 된 것은 시의적절하면서도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