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NPT체제 존중 현실적·합리적”…핵 보유론 한 발 후퇴

WSJ 인터뷰 “확장억제 강화, 한미일 안보협력 더 중요” “한미, 미 핵자산 운용 공동 기획‧실행 시스템 논의 중” “북한, 핵과 경제 중 당분간 경제를 선택하기는 어려워” “가까운 시일 내 중국 한 번 방문 생각” 방중 의사 비쳐

2023-01-20     윤석진 대기자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자체 핵 보유론’과 관련 “현재로서는 우리가 NPT(핵확산금지조약) 체제를 존중하는 것이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것”이라며 한 발 물러서는 태도를 보였다.

윤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인터뷰에서 “저와 대한민국 국민들은 북핵 위협에 대한 미국의 확장 억제에 대해서 상당한 신뢰를 갖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윤 대통령은 아울러 “정부는 NPT 시스템을 매우 존중하며, 미국과 확장억제를 더욱 강화하고 한미일 간의 안보협력을 더 튼튼히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와 관련 “현재 미국 핵 자산의 운용에 관해서 공동 기획, 공동 실행이라고 하는 시스템을 만들어내기 위해 한미 간에 논의하고 있다”고 다시 언급했다.

WSJ는 윤 대통령의 이런 언급에 대해 “윤 대통령이 핵무기를 개발하겠다는 과거 발언을 누그러뜨렸다(dial back)”고 평가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2023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연차총회 단독 특별연설에서 ‘행동하는 연대를 위하여’를 주제로 연설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윤 대통령의 이번 WSJ과 인터뷰는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이 열린 스위스에서 진행됐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 11일 외교부‧국방부 새해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북핵 문제가 더 심각해지면’이란 전제 아래 “자체 핵을 보유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이 발언이 공개된 이후 국내외적으로 파장이 커지자 한 걸음 물러선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이 인터뷰에서 “북한이 핵이냐 경제냐 중에서 선택을 해야 하는데, 당분간 북한이 경제를 선택하기는 어렵다고 보는 게 맞을 것 같다”고 전망했다.

북한의 비대칭 전력 대응과 관련해서는 “가장 중요한 것이 사이버 공격에 대한 방어”라며 사이버 전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윤 대통령은 또 최근 군사력 강화에 나선 일본에 대해 “한미일 간에 북핵 위협에 대해 안보 협력을 강화하고 공동 대처를 해나가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가까운 시일 내에 중국과 협의해서 중국을 한번 방문할 생각”이라며 방중 추진 의사도 내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