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작년 가상화폐 2조원 넘게 탈취…핵 등 WMD 개발 사용

블록체인 분석업체 체이널리시스 ‘2023년 보고서’서 밝혀 북 해킹 규모 16억5000만 달러…2021년보다 4배 급증해 전 세계 총 절도액 38억 달러 중 43% 차지 절반에 가까워 지난 7년동안 훔친 가상화폐 전체 규모 약 32억달러 달해

2023-02-03     한상현 전문기자

[국방신문=한상현 전문기자] 라자루스 등 북한과 연계된 해커 조직들이 지난 한 해 전 세계를 무대로 약 16억5000만달러(약 2조340억원) 규모의 가상화폐(암호화폐)를 훔쳤다는 분석이 미국에서 나왔다.

북한이 지난해 전 세계에서 도난당한 암화화폐의 절반에 가까운 액수를 훔친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 뉴욕에 있는 블록체인 분석 업체 체이널리시스는 1일(현지시간) 발간한 ‘2023 가상화폐 범죄 보고서’에서 전 세계에서 지난해 총 38억달러(약 4조6870억원) 상당의 가상화폐가 절도를 당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도인 2021년 33억달러(약 4조700억원)보다 5억달러(약 6170억원) 늘어난 액수다.

체이널리시스는 이 보고서에서 월별로 “특히 3·10월에 큰 폭의 급증세를 보였다”며 “10월에는 총 32건의 해킹 사건이 발생해 7억7570만달러(약 9560억원) 상당의 가상화폐가 도난당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전 세계 가상화폐 해킹은 특히 북한 정부와 연계된 해커들이 주도했다는 것이 체이널리시스의 주장이다.

미국 뉴욕 소재 블록체인 분석 업체 체이널리시스가 1일(현지시간) 공개한 ‘2023 가상화폐 범죄 보고서’ 표지.(출처=체이널리시스 홈페이지 갈무리)

이 보고서대로라면 북한 해커들이 지난해 훔친 16억5000만달러는 전 세계 가상화폐 절도 규모의 43.4%에 해당한다. 

이는 2021년과 비교해 4억2880만달러(약 5280억원)보다 4배 가까이 급증한 것이다.

이처럼 가상화폐 해킹이 증가하면서 미국 등 각국은 암호화폐 해킹 대응 조치를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이와 관련 미 연방수사국(FBI)은 지난해 3월 6억달러(약 7390억원) 규모의 가상화폐 해킹 사건과 6월 1억달러(약 1230억원) 규모의 해킹 사건의 배후로 북한 연계 조직을 지목한 바 있다.

지난해 미 사법당국은 처음으로 북한 연계 해커들이 훔친 가상화폐 자금 3000만달러(약 370억원)를 회수한 바 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이 지난 7년 동안 훔친 가상화폐 전체 규모는 총 32억290만 달러(약 3조9500억원)에 달한다.

체이널리시스는 “북한의 2020년 총수출 규모가 1억4200만달러(약 1750억원)에 불과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가상화폐 해킹은 북한경제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한미 정보당국 등은 북한이 이같이 훔친 가상화폐 자금을 주로 핵‧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WMD) 개발에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해 왔다.

앤 뉴버거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이버·신흥 기술 담당 부보좌관은 이와 관련 지난해 7월 “북한은 사이버 기술을 이용해 미사일 프로그램에 드는 돈의 3분의 1을 벌고 있다고 추정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체이널리시스는 가상화폐 해커들이 주로 블록체인 기반 분산형 금융상품(디파이, Defi)의 거래 구조의 약점을 파악해 범행에 이용했다고 이 보고서에서 밝혔다.

지난해 가상화폐 해킹 규모의 82%가 이런 약점을 이용했다는 설명이다.

체이널리시스는 “가상화폐 해킹은 해가 갈수록 더욱 어려워질 것이며, 덜 생산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