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태영호 ‘4·3, 김일성 지시’ 발언은 ‘망언’”…징계안 제출

15일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 제소 “유가족‧희생자들 명예 훼손 망언” “사과하고 국회의원직 사퇴” 촉구 태영호 “북한에서 그렇게 배웠다”

2023-02-15     윤석진 대기자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원내수석부대표(가운데)가 송재호(왼쪽)·김한규 의원과 함께 15일 국회 의안과에 태영호 국민의힘 징계안을 제출하고 있다.(사진=공동사진기자단 연합뉴스)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15일 ‘제주 4·3 사건’에 대해 “명백히 북한 김일성의 지시에 의해 촉발됐다”는 취지로 발언한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을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 제소했다.

민주당 위성곤 원내수석부대표와 같은 당 송재호, 김한규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의안과에 태 의원에 대한 징계안을 제출했다.

제주 서귀포시를 지역구로 두고 있는 위 의원은 징계안 제출 후 기자들과 만나 “태 의원의 역사 인식에 큰 문제가 있다고 본다”며 “태 의원은 국회의원직을 사퇴하고 국민께 사과해야 하며, 국민의힘은 태 의원을 징계하고 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 의원도 “제주 4·3사건은 김대중 정부에서부터 진상규명이 시작됐고 노무현 정부 때 진상 보고서가 나왔다”며 “진상규명의 결과는 국가 공권력에 의한 민간의 대량학살”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태 의원의 발언에 대해 “그간 이어온 대한민국 정부 정통성 전부를 부정하는 반국가적·반국민적 망언”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도대체 (국민의힘)최고위원직이 뭐길래 제주 4·3까지 정략적으로 활용하는지 개탄스럽다”며 “이런 망언으로 국민의힘 당원들이 본인에게 표를 줄 것으로 생각했다면 당원들의 수준을 무시하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전날 열린 민주당 원내대책회의에서 위 의원은 “민주당은 4·3 사건을 폄훼하고, 유가족과 희생자들의 명예를 훼손한 망언에 대한 책임을 물어 (태 의원을) 국회 윤리위에 제소하겠다”고 예고했었다.

위 의원은 그 자리에서 “제주 4·3 희생자와 유가족의 상처에 또 다시 상처를 덧댄 망언에 대해 태 의원은 즉각 사과하고, (국민의힘) 최고위원직 후보를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탈북민 출신인 태 의원을 향해 “대한민국 역사를 다시 제대로 배우라”며 “귀순한 사람으로서가 아니라, 대한민국 국회의원으로서 역사적 책임을 통감하고 역사 앞에 용서를 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박용진 의원도 전날 SNS에 “여당 최고위원이 되겠다고 나선 국회의원의 망언은 바로 국민의힘이 책임져야 할 망언”이라며 “집권 여당에서 태 의원의 발언을 어떻게 처리하는지가 집권 여당의 4·3에 대한 인식 수준을 드러낼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민의힘 간사인 태영호 의원이 15일 열린 국회 외통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있다.(사진=연합뉴스)

그러나 태 의원은 “나는 북한 대학생 시절부터 4·3 사건을 유발한 장본인은 김일성이라고 배워왔다”며 잘못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지금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고 같은 입장을 고수했다.

태 의원은 전날 열린 국민의힘 3·8 전당대회 부산·울산·경남 합동연설회에서 “제가 어제 제주 4·3 사건 관련해 팩트 하나를 터뜨렸다”고 발언의 정당성을 부각시키기도 했다.

태 의원은 또 민주당의 국회 윤리위 제소에 대해 “사과할 사람은 김일성 손자 김정은인데 김정은한테는 입 뻥끗 못 하고, 저를 보고 사과하라는 게 말이 되느냐”고 반박했다.

태 의원은 주영국 북한대사관 공사로 근무하다 지난 2016년 탈북해 8월에 한국에 입국했으며, 그해 12월 국적을 얻었다.

지난 2020년 4월 15일에 실시된 21대 총선에서 서울 강남갑 국민의힘 후보로 출마해 국회에 입성한 초선 의원이다.

태 의원은 오는 3월 8일 예정된 국민의힘 전당대회에 최고위원 후보로 출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