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 통일, 북 김주애 후계설 “세습 미리 준비 생각…의문 많아”

국회 외통위 답변 “‘백두혈통’ 중심 체제 결속 조치” “어떤 부분도 특정 안해…다양한 가능성 보고 있어” 김정은 다른 자녀 관련 “김주애 외 확인된 바 없어”

2023-02-15     송국진 기자
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15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의원들의 질의를 듣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딸 김주애의 후계자설과 관련 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15일 “북한이 3대, 4대 세습을 미리부터 준비하는 정도로 생각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권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정진석 국민의힘 의원이 북한에서 김주애를 부각시키는 것과 관련한 질의에 “김정은과 소위 ‘백두혈통’ 중심으로 한 체제 결속을 단단히 하기 위한 조치”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나 북한의 김주애 후계자설에 대해서는 의문점이 많다며 “지금은 어떤 한 부분도 특정하지 않고 있다”며 유보적 태도를 나타냈다.

북한이 지난 8일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연 75주년 ‘건군절’ 기념 열병식 주석단에 서서 박수를 치고 있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딸 김주애.(자료 사진=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권 장관은 이어 “김정은의 나이, 북한 체제의 가부장적 성격 등을 고려하면 여성에게 바로 세습하는 부분이 맞는 이야기냐는 의문도 많이 있다”며 “물론 다양한 가능성에 대해 다 보고 있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러면서 “군인들이 행렬 중에 '백두혈통 결사보위'를 외친 것을 보더라도 어떤 한 특정인이라기보다 김정은과 일가에 대한 충성을 더 단단하게 하기 위한 조치들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정 의원이 미국 워싱턴포스트(WP) 등 외신의 관련 보도를 예로 들어 김주애의 후계자 가능성 질문을 이어가자 권 장관은 “언론이나 학자 전체를 보면 김주애를 후계자로 보려고 하는 입장도 많이 있지만, 아직 더 조심스럽게 봐야 하는 입장도 만만찮게 많다”고 답변했다.

북한 조선우표사는 ‘신형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17형의 시험발사성공’ 기념우표를 이달 17일 발행한다며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딸 김주애가 함께 찍은 사진을 도안한 우표를 지난 14일 공개했다.(사진=조선우표사 홈페이지 갈무리 연합뉴스)

권 장관은 또 김 위원장의 다른 자녀에 대한 정보와 관련 “김주애 외에는 확인된 바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와 관련 “이제까진 김주애 위에 아들이 있고 그 밑에 또 자녀가 있는데 성별이 확실치 않다는 것이었지만 김주애라고 불리는 딸 외에는 확인된 것은 없다”며 아들의 존재 여부에 대해서도 “확실하게 그렇다고 확인해줄 수 없다는 게 맞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김 위원장이 지난해 11월 18일 화성-17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현장 참관 때 딸을 동반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 8일을 전후해 열병식을 비롯한 ‘건군절’ 기념행사에 잇따라 등장시키며 ‘김주애 띄우기’에 열을 올리는 모습이다.

북한은 이어 최근 김주애가 김 위원장과 함께 찍은 사진을 담은 우표 도안을 공개했으며, 열병식 영상에는 이른바 김주애가 타는 것으로 추정되는 ‘백마’까지 등장시켰다.

북한이 지난 8일 연 75주년 ‘건군절’ 기념 열병식 녹화중계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딸 김주애 소유로 추정되는 백마를 공개했다. 맨 오른쪽이 김정은 백마, 그 뒤가 김주애 소유 추정 백마. 조선중앙TV는 이 말을 가리켜 “사랑하는 자제분께서 제일로 사랑하시는 충마”라고 소개했다.(자료 사진=조선중앙TV 화면 갈무리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