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징용해법, 한일 공동이익·미래발전 방안” 강조

“한일간 미래지향적 협력, 세계 전체의 자유·평화·번영 지켜줄 것” 국무회의서 “양국 공동이익과 미래발전 부합 방안 모색해온 결과”

2023-03-07     한상현 전문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베이비타임즈=한상현 전문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7일 정부의 일제 강제징용 배상 해법이 한일 양국의 공동이익에 부합하는 방안이며 미래 지향적 협력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그동안 피해자 입장을 존중하면서 한일 양국의 공동이익과 미래 발전에 부합하는 방안을 모색해온 결과”라며 강제징용 배상 해법의 의미를 강조했다.

그러면서 “일본은 과거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지금은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 경제, 과학기술, 글로벌 의제에서 협력하는 파트너”라며 지난 3·1절 기념사를 다시 언급하고 ‘일본과 협력관계’를 거듭 피력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한일 간 미래 지향적 협력은 한일 양국은 물론이거니와 세계 전체의 자유, 평화, 번영을 지켜줄 것이 분명하다”며 “양국 정부의 각 부처 간 협력체계 구축과 아울러 경제계와 미래 세대의 내실 있는 교류 협력 방안을 세심하게 준비하고 지원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또 “1974년 특별법을 제정해 8만3519건에 대해 청구권자금 3억 달러의 9.7%에 해당하는 92억원을, 2007년 또다시 특별법을 제정해 7만8000여명에 대해 약 6500억원을 정부가 재정으로 배상해 드렸다”며 과거 정부의 지속적인 강제징용 피해자 구제 노력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일제강점기 강제징용을 당한 국민들의 아픔을 치유하고, 합당한 배상을 받도록 대한민국 정부는 과거부터 꾸준히 노력해 왔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한일간 미래 지향적 협력과 관련해 “우리 국민의 방일은 코로나 전인 2018년 연간 753만명이었고, 한일관계가 악화한 2019년에도 558만명에 달했다”며 “일본 국민의 방한은 코로나 전인 2019년 327만명에 달하고 일본 국민은 코로나 여행 규제가 풀리면 가장 가고 싶은 나라 1위로 한국을 꼽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특히 “한일 교역 규모는 우리나라 전체 교역 규모에서 6∼7%에 이르고 우리 기업에 대한 외국인 직접 투자 규모는 일본과 일본 기업이 전체의 22%를 넘는다”고 밝혔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국가보훈부 승격과 재외동포청 신설을 담은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통과됐다”며 “외교부는 재외동포청 신설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재외동포 보호와 지원체계를 튼튼히 구축해서 국가 품격을 더욱 높여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