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윤곤의 스마트금융] MZ세대의 은퇴 대비 재테크 전략
이생망, 영끌, 빚투 등 요즘 MZ세대의 안타까운 경제 현실을 풍자한 신조어가 난무하다.
주식이나 코인 투자로 큰돈을 번 사람이 가끔 있으나 가능성은 매우 낮다. 로또 1등에 당첨되어 십수억원(세후 평균 13.7억원)을 탄 사람이 매주 여러 명 나오지만 당첨 확률은 814만분의 1로 0.0000001% 정도다.
단기간에 큰돈을 벌기는 매우 어렵다. 하지만 MZ세대가 은퇴할 무렵 30억원이라는 큰돈을 모으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고차원적인 금융지식이나 투자기법을 공부할 필요도 없다. 선택과 실천의 문제일 뿐이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증권시장의 성장과 발전을 신뢰하고 저축보다는 투자를 선택할 것인가 하는 ‘선택의 문제’다.
개별종목 투자보다는 장기 적립식, 글로벌 자산배분, 저비용 투자의 3대 자산관리 원칙에 따라 투자할 것인가 하는 ‘선택의 문제’다. (‘재테크, 왕도는 없는가’ 2022년 9월 1일자 국방신문 기고 참조)
나아가 30여년 동안 장기간에 걸쳐 무소의 뿔처럼 좌고우면하지 않고 꾸준하게 실천할 수 있느냐의 ‘실천의 문제’다.
나머지는 세월이 흐르면 돈이 돈을 벌게 해줄 것이다.
우리나라는 국민연금, 퇴직연금, 연금저축 3층 구조로 은퇴 이후 생활을 준비하도록 하고 있다.
국민연금은 누구나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한다. 베이비붐 세대들은 늦어도 63세부터는 국민연금을 수령할 수 있다. MZ세대는 65세부터 받을 수 있지만 앞으로 평균연령과 정년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 실제로 연금을 탈 무렵에는 67~68세 정도로 늦춰질 가능성이 있다.
직장생활을 하면서 급여에서 4.5%, 회사가 4.5%를 부담하여 총 9%의 국민연금보험료를 낸다. 납입 상한액이 정해져 있어 많이 내고 많이 탈 수도 없다. 상한액은 매년 정부가 조정하는데, 2022년 7월~2023년 6월 기준 상한액은 49만7700원(기준소득월액 553만원)으로 그 절반인 24만8850원이 급여에서 원천징수 된다.
직장이 없는 배우자도 국민연금에 임의가입하는 것이 나름대로 연금소득을 늘리는 방법이다. 베이비붐 세대는 주부인 배우자에게 주는 ‘선물’로 가입하기도 했다. 국가에서 노후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최저 금액(9만원)으로 임의가입하면 비교적 높은 수익률로 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은 40%로 매년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여 지급한다. 소득대체율은 소득이 낮은 사람은 높고 소득이 높은 사람은 낮은 하후상박(下厚上薄) 구조로 되어 있다.
국민연금은 2055년이면 고갈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보험료율을 올리고 납입 기간은 늘리고 수급 시기를 늦추는 방향으로 제도개선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MZ세대의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약 30년 후에 국민연금이 고갈될 것이라고 추산되기 때문에 젊은 세대는 국민연금을 내기만 하고 받지는 못할 것이라고 혹세무민하는 세력도 있다. 무책임하고 세대 간 갈등과 불안을 조장하는 주장에 불과하다. 국가가 존재하는 한 국민들에게 연금을 지급하게 되어 있다. 다만 연금제도 개혁을 위한 사회적 합의와 고통 분담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퇴직연금은 예전 퇴직금이 퇴직연금 체계로 개선되어 확정급여형(DB, Defined Benefit)과 확정기여형(DC, Defined Contribution) 중 종업원이 선택한다.
DB는 회사가 퇴직적립금을 금융기관에 맡겨 운용하고 나중에 직원이 퇴직할 때 정해진 퇴직금(퇴직 전 3개월 통상임금 × 근무연수)을 지급한다. 회사는 금융기관과 퇴직적립금 관리계약을 체결하고 회사가 알아서 적립금을 운용한다. 운용 손익도 전적으로 회사에 귀속된다.
DB를 선택한 직원은 임금피크를 앞두거나 높은 직위에서 물러나게 되면 급여가 감소하므로 보통 통상임금이 최고 시점일 때 DB를 DC로 전환하는 것이 유리하다.
DC는 회사가 매달 직원에게 사실상 퇴직금을 지급한다. 회사와 퇴직연금 관리계약이 체결된 금융기관 중 직원이 지정한 금융기관에 개설된 직원 명의의 퇴직연금계좌(DC계좌)로 매달 퇴직금이 이체된다. 회사는 퇴직금을 지급만 하고 운용은 개인이 전적으로 알아서 한다.
결국 퇴직연금으로 DB와 DC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의 ‘선택의 문제’다. 베이비붐 세대야 대체로 은퇴해서 의미가 없지만 MZ세대들은 매우 중요한 이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임금 상승, 근무연수에 따른 호봉 상승, 승진에 따른 직책수당 상승 등으로 급여가 오르면서 DB 퇴직금도 증가한다. 한 직장에 오래 근무할 계획이고 비교적 안정적 성향이며 운용에 신경 쓰고 싶지 않은 사람은 DB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다.
반면 매달 회사로부터 퇴직금을 받아 개인이 직접 운용하는 DC는 어떤 상품을 선택하느냐,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따라 운용성적이 달라진다. 퇴직금으로 받은 원금보다 줄어들 수도 있고 DB 퇴직금보다 많을 수도 있다.
DC 계좌에서 예·적금 상품이나 MMF 등 비교적 안전한 상품으로 운용하면 손실을 보지는 않지만 DC 퇴직금이 실감나게 불어나지 않는다. 오히려 DB 퇴직금보다 적을 가능성이 높다.
예전 베이비붐 세대야 부모 세대로부터 퇴직금은 안전하게 관리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많이 들어왔다. 그 결과 선진국에 비해 원금보장상품을 많이 편입하여 낮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는 게 현실이다.
2022년말 퇴직연금 적립금은 336조원에 달하고 88.6%가 원리금 보장상품으로 운용되고 있다. 비교적 안전한 금융상품을 선호하는 회사의 DB퇴직연금이 포함되어 있어 더욱 그렇다.
2019~2021년 원리금 보장성 상품의 연평균 수익률은 2%대에 머문 반면 실적배당형은 6.38~10.67%를 기록했다. 2022년에는 주가가 크게 하락하여 실적배당형은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을 것이다.
전문가들은 MZ세대가 보통 30년 남짓 근무한다고 보면 안정적인 예·적금 상품보다는 TDF2045(퇴직시점) 또는 TDF2050 생애주기 투자상품으로 DC퇴직금을 운용하도록 권고한다. 자동매입약정을 통해 매달 적립식으로 TDF에 장기 투자하도록 조언한다.
TDF는 주식, 채권, 리츠, 원자재 등 다양하게 자산을 배분하여 생애주기에 따라 리스크 자산 비중을 조절해주는 투자상품이다. 자산배분을 통해 변동성은 조금 낮추면서 양호한 수익률을 추구하는 맞춤형 퇴직연금 상품이다.
자산운용 전략이나 수수료가 조금씩 다르므로 PB와 상의하여 3~4개 자산운용사 TDF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보통 DC계좌에서 70%까지 주식형펀드 등 리스크 자산을 편입할 수 있으나 TDF는 100%까지 편입할 수 있다.
가입 초기에 주가가 떨어지면 퇴직연금이 손실을 볼 수도 있지만, 초기 투자금액은 30년 동안 납입하는 전체금액으로 보면 일부에 불과하다. 주가가 떨어지면 오히려 낮은 가격으로 자산을 편입할 수 있는 기회다. 일희일비할 필요가 없다. 퇴직연금은 짧게는 30년, 퇴직 후 인출기간을 감안하면 길게는 60년의 장기전이다.
좀 더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싶다면 절반은 TDF에 투자하고 나머지 절반은 배당수익률이 높은 인프라펀드나 리츠를 편입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우리 시장에 상장된 맥쿼리인프라펀드나 여러 리츠종목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5~7% 수준의 배당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 DC계좌는 배당소득세가 면제된다. 배당금이 나오면 추가로 투자하여 복리효과를 누릴 수도 있다. 다만, 펀드처럼 자동 편입되지 않고 주식처럼 직접 매수해야 하므로 번거롭다.
DB나 DC는 선택의 문제다. 합리적으로 리스크를 감당하고 장기적으로 적립식으로 TDF를 통해 분산투자하면 전문가들은 연 8~10% 기대수익률을 누릴 수 있다고 분석한다. 결국 이를 신뢰하고 DC를 선택할 것인지는 각자의 몫이다.
예를 들어 초봉 4200만원, 임금인상과 호봉·직책수당 상승 등을 고려하여 연평균 연봉 상승률을 5%로 가정하면 30년 후 연봉은 1억7288만원이 된다. DB를 선택하면 30년 후 DB퇴직금은 4억3220만원[(1억7288만원/12)×30년]으로 예상된다. (사람인 ‘2022년 신입직원 연봉현황 조사’ 참조, 중소기업은 2881만원, 대기업은 5356만원으로 이를 대략 평균한 수치임)
반면 DC를 선택하면 매달 퇴직금을 받아 DC계좌로 이체된 퇴직금 원금 총액은 2억3254만원에 달한다. 이를 이체될 때마다 TDF에 투자하여 연 8%의 수익률을 거둔다면 30년 후 DC퇴직연금 평가액은 6억6975만원이 예상된다. DC가 DB보다 약 1.5배 많다. 이는 리스크(risk)를 감수하고 투자한 대가(reward)로 이해하면 된다.
연봉 상승률이 얼마나 될 것인지, DC 수익률이 어느 정도 될 것인지에 따라 다르다. 쉽게 말해 연봉 상승률보다 높은 투자수익률을 얻을 수 있으면 DC가 유리하다. 결국 각자의 선택에 달려 있다.
DB든 DC든 퇴직하면 퇴직금은 퇴직소득세를 납부하고 일시금으로 인출할 수 있다. 아니면 개인형퇴직연금(IRP, Individual Retirement Plan) 계좌로 이체되어 개인이 직접 운용하면서 연금으로 나눠서 받을 수 있다. 급하게 돈이 필요하지 않으면 계속 운용하면서 연금으로 받는 것이 낫다.
퇴직소득세는 다른 소득과 구분하여 과세가 되는 분류과세로 근무기간 등을 고려하여 계산되는데, 보통 5~10% 정도 세금이 부과된다. IRP로 이체하면 퇴직금과 퇴직소득세가 확정되며, 퇴직소득세는 당장 내지 않고 나중에 연금으로 받을 때 낸다. 이때도 퇴직소득세의 30~40%를 감면받는다.
예를 들어 퇴직소득세율이 8%라면 연금 수령을 개시하고 10년까지는 연금수령액의 5.6%(8%의 30%를 감면), 그 이후는 4.8%(8%의 40%를 감면)의 세금만 내면 된다.
다음으로는 은퇴에 대비하여 사적연금인 연금저축과 IRP에 가입하는 것이다. 정부는 국가나 회사가 지급하는 연금 외에 개인이 추가적으로 연금을 적립하여 노후에 대비하도록 연금저축이나 IRP 납입금에 대해 세제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연금저축에 연간 600만원, IRP는 연금저축과 합하여 연간 9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총 급여액 5500만원 이하는 납입액의 15%(지방세 포함 16.5%), 그 이상은 납입액의 12%(지방세 포함 13.2%)의 세금을 돌려받는다.
직장인이라면 연금저축과 IRP는 꼭 가입해야 한다. 가능하면 연금저축과 IRP 계좌에 각각 납입하여 최대한 세제혜택을 받는 것이 유리하다.
연봉이 4800만원이면 예를 들어 연금저축으로 매월 40만원(연 480만원), IRP로 매월 35만원(연 420만원)을 납입하면 연말정산에서 148만5000원을 돌려받는다. 연말정산에서 급여계좌로 세금을 돌려받지만 이를 다시 연금저축이나 IRP에 넣어 계속 투자하는 것도 연금소득을 늘리는 방법이다.
세제혜택보다도 연금저축이나 IRP를 어떻게 운용할 것인가가 보다 중요한 문제다. 연금은 그냥 ‘바구니’여서 그 안에 어떤 상품을 넣을 것인가가 핵심이다. 금융기관별로 마련해 놓은 상품이 다르다. 은행은 연금저축신탁, 보험회사는 연금저축보험, 증권회사는 연금저축펀드라는 이름으로 상품이 나와 있다.
먼저 연금저축신탁은 은행에서 내놓은 원리금 보장형 연금상품이나 수익률이 낮아 2018부터는 판매가 중단되어 소멸된 상품이다. 연금은 안전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깨지고, 장기간에 걸쳐 적립식으로 납입하므로 투자상품을 통해 수익률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운용돼야 하는 점을 시사한다.
연금저축보험은 보험회사가 공시한 공시이율로 납입금을 불려준다. 보험회사는 확정금리 성격의 공시이율을 지급하므로 국채 등 비교적 안전자산에 투자한다. 관리비용(사업비)까지 고려해야 하므로 공시이율은 정기적금 금리보다 조금 높은 수준이어서 투자상품의 기대수익률보다는 훨씬 낮다. 연금저축보험으로 30년을 납입해도 연금자산이 실감나게 불어나지 않는다.
결국 연금은 투자다. 어떤 상품에 투자할 것인가가 관건이다.
최근 고금리 시기에는 연금저축펀드를 든 가입자가 잠시 5%대의 정기예금 상품을 편입할 수 있었지만 만기가 1년 또는 3년 정도로 짧다. 지금은 4%대 예금상품을 찾기도 어렵다. 고금리 상품으로 장기간 운용할 수 없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MZ세대는 연금저축에 장기간 납입하여 적립식으로 투자하게 되므로 증권회사 연금저축펀드에 가입하여 전세계 주식시장에 분산투자하는 글로벌인덱스펀드에 투자하도록 조언한다.
개별 펀드는 고르기 어렵고 리스크도 크다. 특정산업, 특정국가만 투자하는 펀드는 그만큼 리스크가 크다. 유망한 종목에 투자하는 액티브펀드는 수수료가 비싸고 그렇다고 높은 수익률을 보이는 것도 아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인덱스펀드로 투자하도록 조언한다. TDF보다는 좀더 적극적인 투자전략으로 이해하면 된다.
좀 더 높은 수익률을 얻으려고 시장 상황에 따라 ETF나 개별 펀드를 매수(매입)하고 매도(환매)를 반복하는 소위 파도타기 전략인 마켓타이밍(market timing)은 성공하기 쉽지 않다. 시장을 예측한다는 게 어려운 일이고 매매 타이밍을 잡는 것도 피곤한 일이다.
매년 900만원 30년간 납입하면 세금환급을 받은 금액만 하더라도 3564만원으로 연금저축·IRP의 연 수익률을 0.9%p 상승시킬 수 있다. 매년 환급받은 돈을 기대수익률 10%로 재투자하면 30년 후 1억9542만원이 되어 연 수익률을 3.3%p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은퇴 이후를 대비하기 위하여 연금저축과 IRP에 최대로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는 연간 900만원(월 75만원)보다 조금 많은 1200만원(월 100만원)을 납입하는 것은 크게 부담스러운 금액은 아니다. 월 100만원을 30년간 납입하여 연 10%의 수익률을 거둔다면 세제혜택 환급분을 제외하고도 22억7933만원(원금 3억6000만원)이 예상된다. 장기간 리스크자산에 투자하면 큰돈을 만들 수 있다.
연금저축은 5년 이상 가입해야 하고, 55세 이후 10년 이상 연금으로 수령해야 한다. 세액공제를 받은 연금저축을 도중에 해지할 경우 16.5%의 기타소득세가 부과된다. 즉, 세액공제 받은 금액을 환불해야 한다.
연금저축은 세제혜택을 받지 않은 납입금 원금은 언제든지 비과세로 찾을 수 있다. 세제혜택을 받은 납입금과 전체 운용수익은 연금으로 수령할 때 나이에 따라 3.3%(80세 이상)~5.5%(70세 미만)의 연금소득세를 낸다.
나중에 연금으로 많이 인출하면 종합소득세 문제가 발생한다. 현재는 연간 1200만원 이내는 연금소득세 3.3~5.5%만 부과된다. 1200만원을 초과하면 국민연금을 포함하여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종합소득세로 신고하거나, 아니면 16.5%의 분리과세를 선택할 수 있다.
MZ세대가 퇴직하여 연금을 수령할 때에는 종합소득세로 신고해야 하는 1200만원 한도도 상향조정될 것이다. DB·DC 퇴직금은 분류과세 대상이므로 별도로 과세되고 합산되지 않는다.
MZ세대가 퇴직할 무렵 사적연금(연금저축+개인IRP)으로 22억7933만원, 회사 DC 퇴직연금으로 6억6975만원, 합하여 약 30억원의 목돈이 예상된다. 이 정도면 은퇴 이후 생활을 위해 추가로 저축(투자)하지 않아도 될 자산이다. 원금을 유지하면서 매달 1000만원을 인출할 수 있을 정도의 큰돈이다.
일찍부터 연금저축에 가입하여 용돈을 투자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투자는 오래 해야 복리의 마법을 누릴 수 있다. 세제혜택을 받지 않은 납입금 원금은 세금 없이 나중에 필요할 때 언제든지 찾을 수 있어 유리하다.
어려서부터 용돈으로 삼성전자 주식을 사준다는 보도를 자주 본다. 삼성전자가 세계적으로 유명한 회사이지만 미래에 수익률이 높을 주식인지는 단정하기 어렵다. 주가를 쳐다보고 일희일비할 가능성도 크다. 게다가 개별주식 투자는 펀드보다 리스크가 훨씬 크다. 개별주식보다는 글로벌인덱스펀드나 TDF에 투자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워런 버핏을 포함하여 세계적인 투자의 대가들은 성과가 우수한 펀드를 고르기보다는 저비용의 인덱스펀드에 장기 투자하라고 조언한다. 생애주기에 따라 리스크 자산의 비중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TDF상품도 좋은 대안으로 추천된다.
인덱스펀드는 혁신성장기업과 사양기업의 비중이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글로벌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메타, 테슬라, TSMC, 엔비디아 등 글로벌 혁신기업에 많이 투자하게 된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증권시장은 치열한 경쟁과 혁신을 통해 장기적으로 발전하고 성장한다는, 리스크를 감수하고 장기 적립식 글로벌 분산투자를 하면 충분히 보상을 해준다는 이론과 현실에 바탕을 두고 있다.
MZ세대가 은퇴할 무렵 30억원이라는 큰돈을 마련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가능한 일이며, 그리 어렵지도 않다. 물론 투자의 세계는 항상 손실 볼 가능성은 있다.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다. 하지만 리스크를 감수하고 자산관리 원칙을 지키면서 장기투자하면 보상을 해준다고 자본시장의 역사는 말한다.
안전성을 중시하면 수익률은 낮게 되어 있다. 선택과 실천은 각자의 몫이다.
<최윤곤 전 금감원 국장 약력>
- 금융감독원 33년 근무
- 자본시장조사국장, 기업공시제도실장, 광주전남지원장, 금융교육 교수 등 역임
- 중앙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 University of Texas(Austin) MBA 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