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장병 훈련 모습.
군 장병 훈련 모습.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육군 특전사용 기관단총(K1A)을 대체하기 위한 연구·개발 관련 기밀이 유출된 정황이 포착돼 군사안보지원사령부(안보사)가 수사에 나섰다.

30일 군 관계자 등에 따르면 안보사는 군사기밀보호법 위반 혐의로 A방산업체에서 임원으로 재직하고 있는 B씨 등을 수사 중이다.

A사는 지난해 6월 방위사업청이 육군 특수전사령부의 주력화기인 K1A 기관단총을 대체하기 위한 신형 기관단총 연구·개발 관련 우선협상 대상 업체로 선정됐다.

방위산업 특성상 우선협상 대상 업체로 선정되면 사실상 계약 수주가 유력하다고 받아들여진다.

안보사는 이 과정에서 예비역 중령인 임원 B씨가 차기 기관단총의 군 작전요구성능(ROC) 등 기밀을 사전에 입수한 정황을 포착해 수사를 벌이고 있다.

안보사는 A사의 임원실을 압수수색해 주요 인원들 PC에서 차기 기관단총 관련 다수의 군사기밀을 찾아낸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A사 임원들 PC에는 개발목표와 추진전략, 기관단총의 체계, 구성품 요구성능을 포함한 ROC 즉 작전요구성능 2급 기밀들이 들어 있었다"고 말했다.

안보사는 영업 담당 임원 B씨가 육군본부 전력단에서 총기 개발 업무를 했던 예비역 중령이란 점에 주목하고 있다.

안보사는 아울러 예비역 중령인 B씨가 관련 기밀을 빼내는 과정에서 현역 장교들이 연루됐는 지 여부도 수사를 벌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안보사는 수사를 마무리하는 대로 B씨 및 관련자들을 군검찰 및 민간 검찰에 사건을 송치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방사청 관계자는 “해당 업체가 우선협상 대상으로 선정된 것은 관련 법령과 절차에 따른 것이지만 향후 수사 결과를 면밀히 지켜보겠다”고 밝혔다.

앞서 방사청은 지난해 3월 31일 무기체계 연구개발사업 업체선정 입찰공고를 냈다.

사업명은 ‘특수작전용 기관단총 체계개발사업’으로 현재 우리 군에서 사용 중인 K1A 기관단총을 대체하기 위한 신형 기관단총을 국내에서 연구 개발하는 목적이다.

K1A 기관단총은 우리나라가 최초로 개발한 기관단총으로, 육해공군과 해병대 특수부대뿐만 아니라 기갑병이나 통신병 그리고 지휘관들에게도 지급된다.

1982년부터 보급이 시작된 K1A 기관단총은 누적 생산량이 18만 정에 달한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피지, 나이지리아, 방글라데시, 세네갈, 인도네시아, 캄보디아도 사용하고 있으며 미국에도 수출됐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