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8월 동해 영토 수호 훈련에서 해군1함대 3특전대대 대원들이 해상기동헬기로 독도에 내린 뒤 주변을 경계하고 있다. (사진=해군 제공)
2019년 8월 동해 영토 수호 훈련에서 해군1함대 3특전대대 대원들이 해상기동헬기로 독도에 내린 뒤 주변을 경계하고 있다. (사진=해군 제공)

[국방신문=유진국 기자] 올해 첫 독도방어훈련인 ‘동해 영토수호훈련’이 15일 실시됐다.

이번 상반기 독도방어훈련에는 해군과 해경 함정 및 항공기를 비롯한 공군 전력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독도 상륙 훈련은 포함되지 않아 상륙부대인 해병대는 참가하지 않았다.

이번 훈련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해상 훈련 및 비접촉 훈련 위주로 비공개로 진행됐다.

지난해 하반기 훈련에는 기상과 코로나19 상황 등을 고려해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이 참여했지만 올해는 예년 수준으로 정상 시행됐다고 정부 소식통은 전했다.

군과 해경은 1986년부터 매년 상·하반기로 나눠 정례적으로 독도방어훈련을 하고 있다.

통상 한국형 구축함(3200t급) 등 해군과 해경 함정, P-3C 해상초계기, F-15K 전투기 등이 참가한다.

군 관계자는 “해군은 매년 정례인 동해 영토수호훈련을 시행해 왔다”며 “이번 동해훈련도 우리 영토, 국민, 재산에 대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시행했다”고 밝혔다.

독도방어훈련에 대한 일본의 반발과 관련, 국방부는 “우리 군이 우리의 영토와 국민, 재산을 수호하기 위해 실시하는 주권적인 훈련을 일본 당국이 항의하는 것에 대해 매우 강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앞서 일본 방위성은 이번 훈련과 관련해 주일 한국대사관 무관을 불러 항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한국 무관은 일본 방위성 측에 독도가 대한민국 고유영토라는 입장을 분명히 전달했다고 정부 소식통이 전했다.

일본은 한국군이 독도방어훈련을 할 때마다 반발해왔다.

이와 관련, 한일 외교 당국은 지난 11∼13일(현지시간) 영국 콘월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기간 약식 정상회담을 하기로 잠정 합의한 상태였지만, 일본 측이 이번 훈련을 이유로 일방적으로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는 콘월에 위치한 카비스베이호텔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2박 3일간 G7 정상회의 일정을 함께 했으나 몇 차례 짧은 만남과 인사를 하는 데 그쳤다.

두 정상은 전날 확대회의 1세션이 개최되기 전에 처음으로 만나 인사를 나눴고, 이어진 만찬에서 1분 정도 대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나마 두 차례 모두 문 대통령이 다가가 성사됐다.

이밖에도 두 정상은 확대회의, 기념촬영 등 여러 차례 같은 공간에 있었지만 멀찌감치 자리했다.

일본은 도쿄올림픽 지도에 독도를 일본 영토인 것처럼 표시해 그러잖아도 위안부 배상문제로 소원해진 한일관계를 더 차갑게 만들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