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

 

[국방신문=윤석진 기자]북미 간에 대화 재개를 두고 핑퐁식 공방을 주고 받는 신경전이 이어지고 있다. 

미 국무부는 지난 22일(현지시각) 네드 프라이스 대변인의 전화 브리핑을 통해 북한의 대화 호응 촉구에 ‘잘못된 기대’라며 일축한 김여정 북한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의 담화와 관련 “외교에 대한 우리의 관점에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우리는 (북한의) 핵 프로그램 도전을 다루기 위해 북한과 원칙 있는 협상에 관여할 준비가 계속 돼있다”며 “우리는 북한이 우리의 접촉에 긍정적으로 반응하기를 계속 희망한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미 국무부의 이같은 입장은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22일 이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한 담화에서 미국을 향해 “스스로 잘못 가진 기대는 자신들을 더 큰 실망에 빠뜨리게 될 것”이라고 밝힌데 대한 반응이다.

김 부부장은 이 담화에서 “조선 속담에 꿈보다 해몽이라는 말이 있다”며 “미국은 아마도 스스로를 위안하는 쪽으로 해몽을 하고 있는 것 같다”고 비난했다.

이에 앞서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 17일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미국의 새로운 대북정책을 언급하며 “대화에도 대결에도 다 준비돼 있어야 한다”고 밝히자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지난 20일 방송을 통해 북한이 ‘대화’를 언급한 점을 들어 ‘흥미 있는 신호’라며 ‘대화하자’고 분명한 신호를 보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날 “성 김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최근 전제조건 없이 언제 어디서든 만나자고 제안한 것을 여러분은 들었을 것”이라며 “우리의 정책은 적대가 아닌 해결에 목표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어 “우리는 이런 (김 부부장의) 발언들이 향후의 잠재적 경로에 대한 좀 더 직접적 소통으로 이어질지 지켜봐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