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송국진 기자] 대규모 상륙작전을 수행하고 기동부대를 지휘통제할 해군의 두 번째 대형수송함 마라도함이 28일 취역했다.
첫 번째 대형수송함 독도함이 취역한 이후 14년 만이다.
해군은 마라도함을 기동부대 지휘통제함으로 운용하며 향후 기동함대의 지휘통제함 역할을 할 경항공모함 운용의 노하우를 습득하고 능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부석종 해군참모총장은 취역식에서 “마라도함은 ‘다목적 합동전력 플랫폼’으로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함은 물론, 독도함과 함께 한국형 경항모 건설을 위한 길잡이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마라도함은 문재인 정부가 2033년까지 완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한국형 경항모의 사실상의 ‘프로토타입’으로 기능하게 된다.
해군은 경항모를 마라도함보다 2배나 큰 3만t 규모로 만든 뒤 고도의 스텔스 기능과 수직이착륙 능력을 갖춘 5세대 전투기인 F-35B를 운용할 계획이다. 이는 경항모에 미 해병대와 일본의 F-35B도 이착함할 수 있음을 뜻한다.
마라도함은 기준배수량 1만4500t으로 톤수와 갑판 넓이 모두 해군 함정 중 독도함과 함께 최대 규모다.
비행갑판의 길이는 199.4m, 너비는 31.4m이며, 넓이는 약 6261㎡로 축구장 2개 면적에 달한다. 최대 시속 23노트(42.6km/h)로 항해할 수 있다
비행갑판에서는 5대의 항공기가 동시에 이착함할 수 있다. 비행갑판의 재질은 독도함의 고장력강보다 강화된 초고장력강으로, 미국 오스프리급 수직 이착함 항공기의 무게와 열을 견딜 수 있다.
한국이 미 해병대 주력 수송기인 MV-22 오스프리의 수직이착함이 가능한 중요한 전력을 갖춤에 따라 한반도 주변인 대만 등에서 미중 분쟁이 발생할 경우 마라도함을 기반으로 미 해병대 등에 급유·탄약·식량지원 등의 후방지원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마라도함에는 항공기 외에도 고속상륙정(LSF)과 전차, 상륙돌격장갑차(KAAV), 견인포, 트럭 등이 탑재된다.
승조원 330명뿐만 아니라 상륙병력 700여명 등 총 1000여명을 수송할 수 있어 대규모 상륙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대공레이더의 경우 독도함의 회전식이 아닌 이지스 구축함의 4면 고정형을 장착해 탐지 오차를 줄여 항공기 통제 능력을 강화함으로써 고속 상륙작전도 가능하게 했다.
탐색 레이더의 경우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3차원 선회형 레이더를 장착해 독도함에 비해 탐지 거리와 표적 갱신율을 증가시켰다.
자체 방어를 위해 수직발사형 국산 대함유도탄 방어유도탄인 ‘해궁’을 장착했다. 독도함에 탑재된 램(RAM)과 달리 수직발사 방식을 적용해 전방위 대응이 가능하며 램에 비해 사거리도 증가됐다.
2014년 함 건조 계약 체결 이후 7년 만에 취역한 마라도함은 전력화 훈련을 통한 작전수행능력평가를 거친 후 오는 10월쯤 작전 배치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