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유진국 기자] 각종 드론이나 무인기를 이용한 공격에 대응하는 군·경찰, 소방당국 중심의 합동대응팀이 가동됐다.
경찰특공대와 수도방위사령부, 서울소방재난본부 등은 29일 서울 잠실종합운동장에서 자폭드론, 화학물질 살포 드론 등을 이용한 공격에 대비해 대테러 합동훈련을 실시했다.
“미승인 드론, 종합운동장으로 접근 중”이라는 무전이 타전되자 재밍건(Jamming Gun)과 산탄총 등으로 무장한 특공대원들이 사이렌을 울리며 종합운동장 주차장으로 향했다.
종합운동장 주차장 상공에 ‘윙윙’ 소리를 내는 검은색 드론 3대가 나타나자 곧바로 경찰특공대가 대응에 나선 것이다.
차량 위에 올라선 무장특공대원 두 명이 박격포 모양의 ‘재밍건’으로 드론을 겨냥했다. GPS 전파수신을 방해하는 재밍건을 발사하자 드론은 곧바로 땅으로 추락했다.
드론을 발견하고 추락시키기까지 걸린 시간은 약 1분. 경찰특공대와 수도방위사령부, 서울소방재난본부 등이 함께한 대테러 합동훈련 모습이다.
이날 복합 드론 공격을 가상한 합동훈련에는 군과 경찰, 소방당국 외에도 한강유역환경청, 한세대 등도 참여했다.
훈련은 드론을 이용한 폭발물 테러와 화학테러, 인질테러 등 3가지 시나리오로 이뤄졌다. 훈련에는 수색용 드론과 재밍건, 연막탄, 각종 방호복과 장비 등이 등장했다.
가장 먼저 ‘자폭드론’이 잠실운동장에서 폭발음을 내며 빨간 연기를 뿜어내자 순찰차와 112 타격대가 현장에 도착했다. 현장에 도착한 인력은 현장을 통제하고 지휘본부를 설치해 부상자 주위로 접근금지선을 설치했다.
구급대가 현장에 도착해 피해자를 응급후송하고 소방대는 화재를 진압했다. 이후 약 40㎏ 무게의 방폭복을 입은 경찰특공대 폭발물처리반(EOD)이 도착해 탐지견과 함께 테러범이 버리고 간 차량에서 잔여 폭발물을 발견했다. 특공대원이 물사출분쇄기를 쏴 폭발물을 제거했다.
화학테러 상황을 가정한 훈련도 진행됐다.
미승인 드론에서 피부에 닿을 때 수포를 일으키는 ‘겨자소스’가 방출되자 한강유역환경청 대응팀과 경찰특공대, 소방특수구조단, 수도방위사령부 화생방대대(CBR)가 교대로 현장에 투입돼 화학물질을 정찰·탐지했다.
드론 낙하지점을 진공상태로 보존하고 112대 타격대가 방호복을 입고 주변 시민과 차량을 통제하는 모의 훈련을 진행했다.
주황색, 노랑색 등 눈에 띄는 방폭복을 입은 대원들은 탐지장비를 들고 테러 원점을 조사했다. 환경검체를 채취해 광학분석기법으로 5㎞ 내 화학물질을 식별할 수 있는 장비를 통해 수초 내에 유독화학물질을 탐지해 대응했다.
테러 원점을 탐지하자 수방사 제독차량이 현장에 투입돼 제독 작전을 펼쳤다.
인질테러 모의 상황에선 경찰이 수색드론을 띄워 건물 내외부를 수색하고 용의자와 인질에 대한 정보를 입수했다.
지휘본부에서 드론을 통해 현장 상황을 지켜보며 특공대 전술팀의 진입을 지휘했다. 특공대는 총기로 무장한 테러범들을 제압하고 인질을 구출한 뒤 호송 차량에 태워 현장을 빠져나갔다.
경찰 관계자는 “국제적으로 드론을 활용한 신종 테러 위험이 증폭되는 상황에서 국내에서도 미승인 드론 신고가 늘어나는 등 국가안보 위협 가능성이 커졌다”며 “군 및 소방당국 등 관게기관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발생 가능한 테러상황을 원천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