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세계유산에 등재된 일본 나가사키현의 군함도(端島·일본명 하시마섬) 전경. (사진=외교부 제공)
2015년 세계유산에 등재된 일본 나가사키현의 군함도(端島·일본명 하시마섬) 전경. (사진=외교부 제공)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유네스코(UNESCO) 세계유산위원회는 22일(현지시간) 일제강점기 군함도(端島·일본명 하시마섬)의 강제징용 역사 왜곡을 비판하는 결의문을 채택했다.

유네스코는 일본이 근대산업시설 세계유산 등재 당시 권고한 후속 조처를 이행하지 않은 데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하고 충실한 이행을 촉구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세계유산위원회는 이날 온라인으로 진행한 제44차 회의에서 하시마(端島)에 관해 설명하는 도쿄의 산업유산정보센터를 개선하라고 일본 정부에 촉구하는 결정문을 컨센서스(의견일치)로 채택했다.

결의문은 일본이 관련 결정을 아직 충실히 이행하지 않은데 강하게 유감을 표명하고, 공동조사단 보고서의 결론을 충분히 참고해 관련 결정을 이행해달라고 요청했다.

조사단은 지난달 7∼9일 도쿄 산업유산정보센터 시찰 후 작성한 보고서에서 본인 의사에 반해 가혹한 조건 속에서 한국인 등이 강제 노역한 사실과 일본 정부의 징용 정책을 알 수 있도록 조치를 요구했다.

아울러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적절한 조치도 병행하라고 권고했다.

유네스코가 이달 12일 ‘일본 근대산업시설 결정문’을 공개하고 세계유산 등재 이후 일본 정부의 후속 조치가 부족하다고 결론을 내린 뒤 이날 공식적으로 채택한 것이다.

문제가 된 군함도는 2015년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한국의 반대를 의식한 일본 정부는 등재 당시 조선인 강제징용과 인권침해 등 군함도의 부정적 역사도 국제사회에 알리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군함도가 세계유산에 등재된 후 일본의 태도가 확 달라졌다. ‘강제’나 ‘강제징용’등의 표현은 사라졌고 한국인들에 대한 인권침해가 없었다는 내용만을 부각했다.

군함도 역사를 알리기 위해 도쿄에 마련한 산업유산정보센터는 군함도에서 벌어졌던 인권침해를 부정하는 옛 군함도 주민의 발언을 홈페이지에 올리는 등 약속을 제대로 지키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았다.

일본 나가사키(長崎)현에 있는 군함도에는 일제 강점기에 해저 탄광이 있었다. 한반도에서 동원된 한국인 노무자들이 이곳에서 심각한 인권침해를 당하며 강제 노역했다는 것이 당사자들의 증언과 역사 전문가들의 연구로 확인된 바 있다.

외교부는 이번 결의문에 “다수의 한국인 등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 가혹한 조건 하에서 강제 노역한 사실”과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적절한 조치” 등 표현이 명시된 데 주목하고 있다.

외교부는 “도쿄 정보센터 개선과 같은 구체적인 조치 이행 현황을 주시하면서 일본 측에 이번 위원회의 결정을 조속하고도 충실히 이행할 것을 촉구하겠다”고 밝혔다.

일본 측이 2022년 12월 1일까지 이행 보고서를 제출하면 세계유산위원회는 2023년으로 예정된 제46차 회의에서 이를 검토할 계획이다.

세계유산위원회는 세계유산협약에 따라 설립된 정부 간 위원회로, 세계유산 등재 유산을 심의해 결정하고 세계유산의 보호·관리에 관한 결정을 내린다.

현재 호주, 노르웨이, 러시아, 스페인, 태국 등 21개 국가가 위원국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은 위원국이 아니다.

이번 세계유산위원회는 지난 16일 개막해 31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하며, 21개국 세계유산위원국 대표단 등 1300여명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