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골 한옥 마을의 천우각에서 바라본 서울 타워. 조선후기 금위영 천우각을 새로 웅장하게 지었다. 주변 조그만한 정자나 원두막은 출입통제를 하였으나 공간이 넓은 천우각은 제한없이 올라 휴식을 취할수 있다.
남산골 한옥 마을의 천우각에서 바라본 서울 타워. 조선후기 금위영 천우각을 새로 웅장하게 지었다. 주변 조그만한 정자나 원두막은 출입통제를 하였으나 공간이 넓은 천우각은 제한없이 올라 휴식을 취할수 있다.

[국방신문=주복식 문화전문기] 서울 남산공원의 한 부분인 남산골 한옥마을은 조선 후기 국왕 호위와 수도방위를 위해 설치한 금위영이 있던 곳이다.  근래에는 대한민국 수도방위사령부가 1991년까지 주둔했던 곳이기도 하다. 군부대가 남태령으로 이전하면서 서울시에서 인수 정비하여 1994년 11월 29일에 서울정도 600년 기념으로 서울천년타임 캡슐을 묻고 개봉은 400년후인 서울정도 천년을 기념하는 2394년 11월 29일에 할 예정이다.

1998년 4월 18일은 '남산골제모습찾기사업' 일환으로 남산골 한옥마을을 조성하고 총 대지면적 7만9934㎡(2만4180평)으로 개관했으며, 조선후기 한옥 5동과 전통공예전시관, 천우각 광장, 전통정원, 타임캡슐 광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7년에는 300석 규모로 국악 전문 공연장 서울남산국악당을 전통 건축양식으로 지어 공연하고 있다.

 

정문을 지나면 관람객들의 추억을 가져가라고 포토존을 한옥마을에 어울리게 한복으로 조성했다. 광장 서측에도 또 다른 포토존이 있다.
정문을 지나면 관람객들의 추억을 가져가라고 포토존을 한옥마을에 어울리게 한복으로 조성했다. 광장 서측에도 또 다른 포토존이 있다.
전통정원 청학지 연꽃 위를 나르는 왜가리가 깨끗한 물에 비쳐보인다
전통정원 청학지 연꽃 위를 나르는 왜가리가 깨끗한 물에 비쳐보인다
정문에 들어서면 바로있는 안내판이다. 좌측에는 조선후기 5동의 전통한옥마을이며, 중앙아래에는 청학지와 천우각이고 중앙에는 국악당이며 가운데 상단지역에는 서울천년타임 광장이다.
정문에 들어서면 바로있는 안내판이다. 좌측에는 조선후기 5동의 전통한옥마을이며, 중앙아래에는 청학지와 천우각이고 중앙에는 국악당이며 가운데 상단지역에는 서울천년타임 광장이다.

우리나라에는 각 도시마다 한옥마을이 많다. 서울 인사동 북촌에도 한옥마을이 있고 지역적으로 특색이 있는 전주한옥마을, 경주 양동전통 한옥마을 등이 있다. 건강에도 좋은 효과가 있어 호텔도 한옥으로 조성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남산한옥마을 입구에서 바라본 남산타워의 야경
남산한옥마을 입구에서 바라본 남산타워의 야경

 

24절기의 입춘 때 붙여 놓은 오른쪽 입춘대길과 왼쪽의 건양다경
24절기의 입춘 때 붙여 놓은 오른쪽 입춘대길과 왼쪽의 건양다경

 

남산의 계곡물이 청학지로 흘러가는 다리와 오른쪽의 초가 건물내에 지게와 서울타워
남산의 계곡물이 청학지로 흘러가는 다리와 오른쪽의 초가 건물내에 지게와 서울타워
내림마루 위에 걸려있는 달님과 천우각. 바람이 불지않아 물에 반영이 비쳐야 하는데 먹을 것을 찾는 물고기들이 돌아다니면서 물결을 이루어 비친모습이 흔들렸다. 천우각과 청학지 주변을 전통정원으로 꾸몄다.
내림마루 위에 걸려있는 달님과 천우각. 바람이 불지않아 물에 반영이 비쳐야 하는데 먹을 것을 찾는 물고기들이 돌아다니면서 물결을 이루어 비친모습이 흔들렸다. 천우각과 청학지 주변을 전통정원으로 꾸몄다.
경복궁 중건공사에 참여한 도편수 이승업 건물로 조선후기 1860년대의 건축물이다.
경복궁 중건공사에 참여한 도편수 이승업 건물로 조선후기 1860년대의 건축물이다.
천우각 광장에 마련된 무대와 관람객 의자가 쓸쓸하게 조용하다. 코로나 4단계 조치로  공연을 할수 없어 관람객들이 없다.
천우각 광장에 마련된 무대와 관람객 의자가 쓸쓸하게 조용하다. 코로나 4단계 조치로 공연을 할수 없어 관람객들이 없다.
서울 정도 천년에 개봉하도록 후손에게 선물을 준 서울천년타임캡슐
서울 정도 천년에 개봉하도록 후손에게 선물을 준 서울천년타임캡슐
보름달이 떠오른 천년타입캡슐로 1994년 11월 29일 최병열 서울시장이 한옥마을에 조성했다. 시민 공모작으로 보신각 종을 본따서 만들어 서울모습과 시민들의 생활문물 600점을 담아서 묻었다. 삼성폰으로 촬영
보름달이 떠오른 천년타입캡슐로 1994년 11월 29일 최병열 서울시장이 한옥마을에 조성했다. 시민 공모작으로 보신각 종을 본따서 만들어 서울모습과 시민들의 생활문물 600점을 담아서 묻었다. 삼성폰으로 촬영
서울 남산 국악당으로 코로나 4단계 거리두기로 행사를 못해 한가롭다.
서울 남산 국악당으로 코로나 4단계 거리두기로 행사를 못해 한가롭다.
인근 주민이나 관람객들로 붐벼야 하는 관어지 주변이나 계곡 주변 한가하다. 코로나19로 거리두기를 끝나고 나면 예전처럼 많이 찾았으면 한다.
인근 주민이나 관람객들로 붐벼야 하는 관어지 주변이나 계곡 주변 한가하다. 코로나19로 거리두기를 끝나고 나면 예전처럼 많이 찾았으면 한다.

조선시대 선조들이 남산의 도성 아래에서 피서를 많이 즐겼던 관람객들이 많이 찾는 한옥마을은 요즘은 코로나19 거리두기 4단계가 적용되어 한가하다. 다섯개 동으로 구성된 한옥들과 국악당은 근무시간에만 자유관람이며 월요일은 휴무이다. 전체의 공원지역은 24시간 자유관람이나 십년전 안전을 위하여 심야 24시 ~04시에는 제한하기도 하였다. 서울 중구 필동으로 충무로역 4번출구로 나오면 100미터에 있다. 사진들은 최근 10여차례 방문하여 촬영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