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8일 열린 국회 국방위에 출석해 답변을 숙의하고 있는 서욱 국방부 장관(오른쪽)과 원인철 합참의장.(사진=국회사진기자단)
지난 28일 열린 국회 국방위에 출석해 답변을 숙의하고 있는 서욱 국방부 장관(오른쪽)과 원인철 합참의장.(사진=국회사진기자단)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모두 272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청해부대 집단감염 사태에 대해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권이 국방부와 군 당국을 향해 집중 포화를 퍼부으며 후속 대책을 촉구했다. 

지난 26일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강대식 의원은 “청해부대백신 미접종과 배의 특성인 밀집·밀접·밀폐라는 감염병 취약성을 고려했을 때 파병 전 준비과정에서의 문제점 발생과 늑장보고 및 대응 문제점 등 지휘부의 총체적 부실이 초래한 인재”라고 지적했다. 

한기호 국민의힘 의원도 “열악한 곳에 보내면서도 감염 우려가 전혀 없었다고 하면 여기 계신 분들은 군복을 지금까지 잘못 입은 것”이라며 국회에 출석한 서욱 국방부장관, 원인철 합참의장, 부석종 해군참모총장 등을 면전에서 직격했다. 

이채익 국민의힘 의원은 “국방부가 감찰에 착수했다고 해도 제 식구 감싸기, 솜방망이 처벌이 될 것”이라며 이날 국민의힘이 제출한 국정조사 요구에 정부, 여당의 협조를 촉구했다.

여당에서도 청해부대 집단감염 사태에 대해 쓴소리가 나왔다. 

김진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빛부대, 동명부대는 유엔평화유지군 작전통제를 받고 있어 거기에서 접종을 했고, 아크부대는 아랍에미리트(UAE)와 군사협력을 수행 중이니 (현지에서) 접종을 했다”며 “청해부대만 바다 위에 떠 있다 보니 못 맞았다는 것인데 청해부대도 연합해군사령부(CFM)에 참여하고 있으니까 국방부에서 좀 더 긴밀히 협의하면 백신을 접종할 수 있지 않았겠냐”고 지적했다. 

같은 당 홍영표 의원도 “파병 후에 백신접종이나 유증상자 발생 후에 선제적 방역대책을 완벽하게 하지 못한 것에 대해서는 분명히 책임이 있다”고 추궁했다.

서 장관은 현지 접종이 이뤄어지지 않은 이유에 대해 청해부대의 주요 기항 국가인 오만을 언급하며 “오만과 협조를 했는데 잘 안 됐다”며 “(오만은) 우리가 백신을 가지고 가서 맞히는 것도 허락하지 않는 상황이었다. 현지 접종은 제한이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여야 모두 청해부대 집단감염 사태와 같은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군 당국에 강력히 요구했다. 

 설훈 민주당 의원은 “파병 가는 승조원들은 전원 다 (백신을) 100% 맞고 나가야 한다”면서 “안 맞겠다고 하는 사람은 파병을 안 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대식 국민의힘 의원은 “청해부대에서는 외과의사, 마취전문의사 2명이 역학조사관 역할을 할 수밖에 없었다”며 “지침에 따른 역학조사관 2명이 있어야 했는데 안 된 게 문제”라고 질타했다.

여야 의원들의 빗발치는 책임 추궁을 받은 서 장관은 “청해부대 34진 장병들의 백신 접종에 대해서는 세심한 관심과 노력이 부족했다”고 말했다. 

부석종 해군참모총장도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려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