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관계자가 6.25 전사자 유해 발굴 작업을 하고 있다.(사진=국방부 제공)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관계자가 6.25 전사자 유해 발굴 작업을 하고 있다.(사진=국방부 제공)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국방부가 산하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의 6·25 전사자발굴 유해 중 일부를 신원 확인 없이 국군으로 조작했다는 의혹이 제기된데 대해 28일 감사에 나섰다. 

군 부조리 고발을 이어오고 있는  ‘육대전’(육군훈련소 대신 전해드립니다)은 27일 최근 국유단이 “국군 전사자 유해를 조작했다는 의혹이 제보를 통해 들어왔다. 국군 전사자 유해 구수를 늘리기 위해 이같은 엽기적인 행각을 벌여 온 것으로 보인다”는 내용의 의혹을 페이스북,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폭로했다.  

육대전은 이와 관련 유튜브 채널에서 “복수의 제보자가 이 같은 내용의 제보를 해왔고, 이 주장을 입증할 수 있는 여러 증언도 입수했다”며 “강원도 전방의 육군 A 사단 지역 유해 발굴 현장에서는 호미질만 해도 M1 소총 탄피와 같은 아군 유품이 발견되는데, 여기저기서 유물을 채취했다가 유해가 발굴되면 그 근처에 흩뿌려 마치 국군 전사자 유해인 것처럼 속였다”고 구체적 제보 내용을 공개했다. 

육대전은 이어 “금산에서 채취한 유품을 챙겨놨다가 경북 칠곡 유해 발굴 현장에 뿌려서 처리하기도 했다”며 “경기도와 강원도에 걸쳐 있는 육군 B 사단에서는 유해 발굴팀 관계자가 무단 굴토로 발굴한 치아를 몰래 챙겨두기도 했다는 의혹도 있다”고 주장했다. 

육대전은 “국군 전사자 유해를 늘리기 위해 유품이 전혀 없는 유해에 아군 유품을 뿌리기도 한다. 발굴팀장이 묵인하는 것도 봤다. 북한군이나 중공군일 수도 있는데 국유단은 신원확인 절차 없이 아군 유해로 만들려는 조작을 시도했다”며 “‘죄책감’에 시달렸다”는 익명의 제모자 목격담을 전하기도 했다. 

육대전은 또 다른 익명의 제보자 말을 인용해 “한 번은 발굴한 유해에 아군 유품을 뿌렸다가 조금 더 땅을 파 보니 염이 돼 있는 것을 확인해 전사자 판정을 중단한 일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유해의 국적 판정은 단순히 유품 하나만으로 판정하는 게 아니라 전쟁사와 제보분석, 유해와 유품의 상관관계 등을 통해 결정한다”며 “유해는 유전자 검사 등 과학적 분석을 통해 신원확인이 가능한 유골을 한 구의 유해로 산정한다”고 해명했다.

국방부는 그러면서도 육대전의 의혹 제기에 감사를 통해 진위를 확인해 위반사항이 밝혀지면 법규에 따라 엄정 조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방부에 따르면 2000년 4월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이 시작된 이래 지난해 말까지 총 1만2000여 구의 유해를 발굴했고, 이 가운데 신원이 확인된 전사자는 총 166명이다.

한편, 국방부는 중국과 지난 26일 칭다오(靑島)에서 제8차 중국군 유해 송환과 관련 국장급 실무협의를 열어 9월 1일 양국 공동으로 유해 입관식을 진행하고, 9월 2일에 중국군 유해와 관련 유품을 중국으로 인도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국방부는 이와 관련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16구의 중국군 유해를 (중국에)송환했으며, 앞으로도 한국에서 발굴되는 중국군 유해를 지속 송환해 나갈 것”이라고 말해 발굴 유해 중 상당수가 국군이 아니라는 사실을 간접 시인하고 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