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제 28보병사단 돌풍여단 신병교육대대 조교 조원탁(왼쪽)·오영빈 병장이 전역을 앞두고 받은 ‘군 경력증명서’와 ‘육군용사상’을 함께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육군 제공)
육군 제 28보병사단 돌풍여단 신병교육대대 조교 조원탁(왼쪽)·오영빈 병장이 전역을 앞두고 받은 ‘군 경력증명서’와 ‘육군용사상’을 함께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육군 제공)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육군이 지난 1일부터 전역 병사들에게 새로운 전역증인 ‘군 경력증명서’ 발급을 시작했다. 

육군은 “8월 1일부로 병 복무기록 관리 체계와 전역하는 병사들에게 발급하는 전역증을 대폭 개선했다”고 밝혔다.

육군은 병사들이 군대에서 이룬 다양한 성과가 온전하게 기록되고, 사회에서 증명되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군 경력증명서에는 기존 전역증에 담긴 기본 정보 외에 군 생활 중 수행 직무와 그 기간을 기록한 ‘근무경력’, 복무 중 각종 수상 내역이 적힌 ‘상훈 및 기타 사항’ 등의 항목이 추가된다.

새 증명서에는 코로나19 방역과 같은 재해·재난 대민지원, 국가적 행사 참여, 국민의 생명 보호 활동은 물론 전역 연기 사실까지 기록하는 ‘명예로운 경력’ 난도 새로 생겼다.   

육군은 이와 함께 기존에 부대별로 다르게 적용되던 군 경력의 종류를 특급전사, 최전방 수호병, 훈련 참가, 사회봉사활동 등 20개 항목으로 범주화하고, 인사실무자의 임의 판단으로 군 경력을 누락하는 일이 없도록 병 복무기록 반영 기준을 마련하는 등 병 복무기록 관리 체계도 전면적으로 개선했다.  

육군은 아울러 복무기록 누락 방지를 위해 병사들의 부대 전입과 전역 때 본인이 직접 군 경력을 열람하고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피드백 체제도 도입했다. 

또 기존에 부대 행정업무 체계, 국방인사정보 체계, 온나라 시스템 등 3개의 체계를 통해 복무기록을 입력·의뢰하는 방식에서 국방인사정보체계만 사용해도 일괄적으로 군 경력이 반영될 수 있도록 관련 행정 절차도 크게 간소화했다.

새 증명서는 외형도 병사들의 자긍심 고취를 위해 표창장 형태로 파격적으로 디자인했고, 복무를 성실히 마친 이들에게는 ‘육군용사상’과 함께 수여한다.  

육군인사사령부 병인사관리과장 이윤석 대령은 “인생의 가장 소중한 시기를 국가에 헌신한 장병들의 명예로운 복무기록이 한 건의 누락 없이 기록되고 증명돼 전역 후 진로 선택에도 도움이 되도록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