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현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국방신문 자료 사진)
정세현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국방신문 자료 사진)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인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오는 15일 광복절 전에 한미연합훈련 본 훈련 중단을 결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수석부의장은 이날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북한이 겁을 내는 후반부 훈련을 중단하는 조치를 정부가 오늘 내일 사이에 좀 내려야 되지 않나"본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8·15 광복절 경축사에 어차피 남북관계 관련 대통령의 정책 의지가 실릴 것이라면, 광복절 경축사에 ‘전반부 훈련’은 그대로 갔지만, ‘후반부 훈련’은 중단하는 쪽으로 한미가 입장을 조율했다는 식의 얘기가 좀 나가야 되지 않나”라고 말했다. 

그가 말하는 ‘전반부 훈련’은 사전연습격인 우리 군 합참 주관의 위기관리참모훈련(CMST)을 말하는 것으로 13일까지 예정으로 이미 지난 10일 시작했다. 

그가 ‘중단’을 언급한 ‘후반부 훈련’은 한미연합사 주관의 본 훈련으로 16일부터 26일까지 실시될 예정이다. 

그는 문 대통령이 “(국민들에게) 희망을 갖게 만들어 놓고 한미연합훈련에 대해 한미 간 강력한 조율을 못 하는 관계로 북한이 반발해서 통신선 끊어버리고 남북관계가 식어버린다면, 국민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며 “한미관계만 생각하지 말고 국민들에게 희망을 준 데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달 27일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을 언급하고 “우리 국민들이 ‘이제 다시 한반도에 봄이 오는구나’하는 희망에 벅차 있었다”며 “14일 만에 일장춘몽으로 끝나게 만들면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한미연합훈련 본 훈련 중단이 “문재인 대통령이 자기 트레이드마크로 생각하고, 내걸었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재가동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며 “그렇지 않으면 남은 임기 동안 아무것도 못 하고, 한반도에서 안보 위기가 조성되는 데에 대한 책임을 또 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또 북한의 잇단 담화를 두고 “우리가 반전의 기회를 놓쳤다고 하는데, 사실 그들이 통신선 복원을 계기로 반전의 기회를 잡고 싶었을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그는 이와 관련  “약자가 취하는 일종의 위장전술”이라며 “‘핑계 좀 만들어 달라’는 얘기를 돌려서 해 우리 기분을 나쁘게 하는 습관이 있다”고 해석했다. 

그는 그러면서 북한이 “통신선 복원을 계기로 남측으로부터 인도적 지원을 좀 받고 싶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