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홍범도 장군이 영면에 들 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제3묘역에서 문재인 대통령 내외가 지켜보는 가운데 군 의장대가 하관의식을 거행하고 있다.(사진=이하 청와대 제공)
18일 홍범도 장군이 영면에 들 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제3묘역에서 문재인 대통령 내외가 지켜보는 가운데 군 의장대가 하관의식을 거행하고 있다.(사진=이하 청와대 제공)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독립운동가 홍범도 장군이 지난 18일 조국 땅에서 영면에 든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안장식에 직접 참석해 끝까지 자리를 지키는 것으로 '최고의 예우'를 표했다.     

광복절인 지난 15일 순국 78년 만에 카자흐스탄에서 유해가 봉환된 홍 장군은 이날 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제3묘역에 안장됐다. 

이날 오전에 열린 안장식에는 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를 비롯해 황기철 국가보훈처장 등 홍 장군 유해 봉환 특사단, 여야 정당 대표, 서욱 국방부 장관과 3군 참모총장, 해병대사령등 군 수뇌부 참석했다.

홍범도장군기념사업회 관계자, 홍 장군의 본관인 남양 홍씨 문중 대표, 대한고려인협회장을 포함한 카자흐스탄 고려인들도 자리를 함께했다. 

이날 홍 장군 안장식은 특사단 일원이었던 배우 조진웅 씨의 사회로, 봉환 추진 영상 상영, 헌화·묵념, 홍범도 장군 일대기 영상 상연, 문 대통령 추모사, 추모 공연, 유해 하관 및 허토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지난 16~17일 '국민추모‘ 기간 동안 대전현충원 현충관에 임시 안치됐던 홍 장군의 유해는 남양 홍씨 문중 대표가 든 영정을 앞세우고, 국방부 의장대에 의해 안장식장으로 옮겨졌다.

문 대통령 내외는 카자흐스탄의 추모화 카네이션과 한국에서 추모를 상징하는 국화로 만들어진 조화를 홍 장군 영정 앞에 올리고 분향한 뒤 21발의 예포가 울리는 가운데 참석자들과 함께 묵념을 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대전현충원에서 열린 홍범도 장군 유해 안장식에서 추념사를 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대전현충원에서 열린 홍범도 장군 유해 안장식에서 추념사를 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추념사를 통해 “독립전쟁의 영웅, 대한독립군 총사령관 홍범도 장군이 오늘 마침내 고국산천에 몸을 누이신다”며 “홍범도 장군님, 잘 돌아오셨습니다. 부디 편히 쉬십시오”라고 안식을 기원했다. 

문 대통령은 추념사를 하는 중간에  “장군은 우리 민족 모두의 영웅이며 자부심”이라며 “조국을 떠나 만주로, 연해주로, 중앙아시아까지 흘러가야 했던 장군을 비롯한 고려인 동포들의 고난의 삶 속에는 근현대사에서 우리 민족이 겪어야 했던 온갖 역경이 고스란히 배어있다”는 대목에서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우리는 다시는 그런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절치부심해야 한다”며 “선조들의 고난을 뒤돌아보며 보란듯이 잘사는 나라, 누구도 넘보지 못하는 강한 나라, 국제사회에서 존중받는 나라를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대전현충원 홍범도 장군 묘역에서 허토를 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대전현충원 홍범도 장군 묘역에서 허토를 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홍 장군의 묘역 곁에 서서 군 의장대에 의해 관의 태극기를 벗기고 하관하는 과정 등 안장식 내내 자리를 지켰다.

문 대통령 내외는 지난 17일 청와대에서 열린 홍범도 장군 훈장 수여식에서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으로부터 전달받은 카자흐스탄 크즐오르다 홍범도 장군 묘역의 흙과 한국의 흙으로 허토했다. 

허토는 상주들이 장사를 지낼 때 봉분하기에 앞서 관 위에 흙을 뿌리는 우리의 전래 장례 의식 중 한 가지다.  

한편, 청와대는 “양국은 카자흐스탄에 남아 있는 홍범도 장군의 묘역 역시 지속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협조해 고려인 사회의 정신적 명맥을 이어나가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