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지난 23일 국회 운영위에 출석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사진=국공동사진기자단)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지난 23일 국회 운영위에 출석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사진=국공동사진기자단)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23일 아프가니스탄 공관과 병원 등에서 한국을 도운 현지인들의 국내 이송을 포함해 대책을 강구 중이라고 밝혀 주목을 끌고 있다.  

서 실장은 이날 국회 운영위 전체회의에서 “현지에서 우리한테 도움을 주었던 아프가니스탄 현지인 문제가 시급하다”며 “이분들의 국내 이송 문제를 포함해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와 관련 “짧게는 1년, 길게는 7∼8년을 우리 공관과 병원 등에서 근무한 분들인데, 탈레반 정권이 들어오면서 신변에 위협을 느끼고 있다”며 “우리로서는 그분들에게 안전한 피난처를 확보해 드려야 하는 국가적 문제의식과 책무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편으로 미국 정부가 한국을 포함한 미군기지에 아프가니스탄 난민을 임시 수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일부 외신 보도와 관련, “최종적으로 정리된 것은, 지리적 여건이나 편의성에 따라 미국은 중동이나 유럽 지역에 있는 미군기지를 활용한다는 것”이라며 현재로선 주한미군 기지는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이어 "새벽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연설했는데. 거기서도 그런 언급이 있었다“며 ”중동의 2∼3개 나라, 유럽의 2∼3개 나라를 거명하면서 그 나라에 체류시키겠다는 입장을 밝혀놓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아울러 한국의 아프가니스탄 난민 수용 문제에 대해 “국민적인 수용성을 고려해 종합적 판단을 해야 하는 대단히 복잡하고 신중해야 하는 문제”라며 “앞으로 신중히 검토돼야 할 사안”이라고 조심스럽게 언급했다. 

그는 d이와 별개로 “현재 국내 체류 중인 아프가니스탄인은 400여명”이라고 밝히고 “이 가운데 체류 연장이 안 되는 분들이 문제”라며 “인도적 차원에서 법적 조치가 가능한지를 법무부에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도 이와 관련 같은 날 국회 외무통일위 답변에서 “정부가 20여년 간 상당한 금액의 원조도 하고 종합병원이나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 참여하거나 도움을 준 아프간인이 상당수 있다”며 “한국으로 이주하기를 희망하는 분들도 있는데, 이 분들이 안전하게 우리나라로 이동하는 방법에 대해 정부도 여러 가지 고민하고 있다”고 같은 입장을 밝혔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