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넷플릭스 드라마 D.P.의 한 장면.(사진=넷플릭스 제공)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넷플릭스 드라마 D.P.의 한 장면.(사진=넷플릭스 제공)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육군 헌병대를 배경으로 탈영병 체포조 추격기를 다룬 드라마 D.P.가 불러 일으킨 신드롬이 정치권까지 번지며 여야 대선 주자들이 경쟁적으로 ‘병영문화 혁신’ 공약을 내놓는 기폭제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인 넷플릭스에서 제작한 D.P.(DP·Deserter Pursuit, 체포조) 는 특히 군 내부의 가혹행위를 실감나게 묘사해 과거 군 생활을 했던 예비역 장병들을 폭넓게 공감을 이끌어내고 있는 드라마다. 

이 드라마가 인기를 끌면서 문홍식 국방부 부대변인은 지난 6일 정례브리핑에서 “악성사고가 은폐될 수 없는 병영 환경으로 바뀌어가고 있다”며 “지금까지 국방부 및 각 군에서는 폭행, 가혹행위 등 병영 부조리를 근절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병영혁신 노력을 기울여왔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유력 대선 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관련 글을 올려 “아시다시피 저는 산재로 군에 가지 못했다”면서도 “하지만 수십 년 전 공장에서 매일같이 겪었던 일과 다르지 않다”고 운을 뗐다. . 

이 지사는 이어 “야만의 역사”라며 “‘그래도 된다’고 생각했던, 정신교육이라는 미명 아래 묵인되어왔던 적폐 중에 적폐”라고 지적했다. 

이 지사는 “최근 전기드릴로 군대 내 가혹행위가 이뤄졌다는 뉴스에서 볼 수 있듯 현실은 늘 상상을 상회한다”며 “악습은 그렇게 소리 없이 이어져 왔다”고 공감을 표시했다. 

이l 지사는 그러면서 자신도 “가장 절박한 순간 함께 하지 못했던 ‘공범’”이라며 “청년들(을) 절망시키는 야만의 역사부터 끝내는 것이 MZ(세대)정책”이라고 말했다. 

이 지사는 “가혹행위로 기강을 유지해야 하는 군을 강군이라 부를 수 없다”며 “모욕과 불의에 굴종해야 하는 군대, 군복 입은 시민을 존중하지 않는 세상, 반드시 바꿀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민의힘 유력 대선 주자인 홍준표 의원은 “군부대 출·퇴근하면서 방위라고 군인 대접도 못 받고 매일 고참들한테 두들겨 맞고 하루종일 사역하고 군기교육대 들어온 사병들과 봉체조하기가 일쑤였다”는 경험담을 상기한 뒤 “젊은이들을 징병의 멍에에서 풀어줄 때가 됐기 때문에 일당백의 강군을 만들기 위해 모병제와 지원병제로 전환을 검토한다고 공약했다”고 말했다.

같은 국민의힘 대선 주자인 원희룡 전 제주지사도 자신은 발가락 부상으로 군대에 가지 않았다고 고백하고 “탈영병을 잡는 헌병 이야기 속에 군 부조리 문화가 적나라하게 녹아 있다”며 “함께 드라마를 보던 캠프 청년이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느껴질 정도라 더는 보지 못하겠다고 시청을 포기했다”는 소감을 언급했다. 

원 전 지사는 “요즘은 비교적 개선되고 있다고 하지만 부실 급식 문제, 수통 문제 등 계속해서 군 이슈가 터져 나오는 것을 보면 아직 갈 길이 멀었다”며 “드라마가 군 생활의 모든 것은 아니지만 실제 군필 청년들이 공감하는 면에 대해 더 많은 목소리를 듣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개선요구를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국민의힘 대선 주자로 두 번째 도전하는 유승민 의원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저도 D.P.를 보고 우리 군이 말도 안되는 부조리와 폭력에서 하루 빨리 벗어나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더구나 최근의 군내 성폭행 사건들은 도저히 같은 전우라고 부를 수 없는 범죄 행위였다”고 우리 군이 처한 현실을 비판했다.

유 전 의원은 그러나 홍준표 의원의 모병제 전환 검토 발언에 대해 “모병제를 한다고 해서 군대내 부조리와 폭행을 그대로 둘 수는 없지 않나”라며 “우리나라는 모병제를 못할 이유가 많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