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6.25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의 승전을 다룬 중국 제작 영화 ‘1953 금성대전투(원제 ‘금강천(金剛川)’)’의 수입과 상영 허가를 두고 야당이 정치 공세를 펴는 등 논란이 커지고 있다.
영상물등급위원회는 지난달 30일 심의를 통해 ‘금성 대전투’에 대해 ‘15세 이상 관람가’ 등급을 부여했다.
영등위는 이와 관련 지난 7일 보도자료를 내고 “현행 영상물 등급분류 제도는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에 따라 도입되었으며, 영상의 소재 또는 내용 등을 이유로 해당 영상물의 등급분류를 보류하거나 거부하는 것은 헌법에서 금지하는 사전검열에 해당되어 현행 법률로 허용하지 아니한다”고 설명했다.
영등위는 그러면서 “관련 제도와 규정에 따라 해당 영화를 '15세 이상 관람가' 등급으로 분류했다”고 밝혀 현행법상 수입과 상영을 막을 방법이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금성 대전투’는 6.25 막바지인 1953년 7월 금강산 하류에서 강원도 화천군과 철원군 일대 영토를 차지하기 위해 국군과 유엔군 40만명이 중공군에 맞서 싸운 전투다.
중국이 전사에 “한국군 5만2783명을 섬멸했다”고 기록하고 있을 정도로 6.25 당시 대표적인 승전으로 꼽는 전투다.
이 전투에서 우리 군은 전사 공식적으로 1701명, 부상 7548명, 포로와 실종자 4136명에 달하고, 이로 인해 193㎢의 영토를 북한에 빼앗기는 등 참패한 전투로 전사에 기록돼 있다.
중국에서 제작된 이 영화에서는 중공군을 ‘영웅’으로, 대대적 폭격을 주도한 미군을 ‘악당‘으로 각각 묘사하고 있다.
이 영화 상영 허가 소식이 전해진 뒤 재향군인회는 8일 ‘정부는 중국의 선전영화 상영 허가를 즉각 취소하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하고 “6·25전쟁에 참전했던 국군과 유엔군을 능멸하는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향군은 이어 “이 영화는 한반도를 공산화하기 위해 북한과 함께 불법 남침을 저질렀던 중국이 ‘항미원조(抗美援朝: 미국에 맞서 북한을 도움) 70주년을 기념해 제작된 영화”라며 “중공의 남침 사실을 정당화하고 중공군의 용맹성을 부각시키려는 중국 공산당의 선전물”이라고 주장했다.
향군은 또 “철저히 중국과 북한의 시각으로 제작한 정치 선전물을 우리 정부가 상영할 수 있도록 허가한데 대해 충격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중국 공산당이 막대한 예산을 들여 이 영화를 제작한 의도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항미원조 70주년 기념식에서 연설 했 듯 ‘미국에 맞서 북한을 지원한 전쟁’으로 본질을 왜곡하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국민의힘을 중심으로 야당도 “문재인 정부의 대중국 굴욕외교”라며 이 영화를 상영 허가한 현 정부를 향해 맹비난을 쏟아냈다.
국민의힘 대선 주자인 유승민 전 의원은 이날 SNS에서 “대한민국을 침략한 중공 찬양 영화를 우리 안방에서 보라는 것인가”라며 “중국 정부에 굴욕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게 문재인식 ‘문화 상호주의’인가”라고 문 대통령을 직접 겨냥했다.
최재형 전 감사원장도 SNS를 통해 “도대체 전쟁을 도발한 게 누구인가”라며 “청소년들에게 침략 전쟁에 가담한 중국 인민군을 영웅으로 묘사한 영화를 보여주는 의도가 도대체 무엇인가”라고 거듭 반문했다.
국회 부의장인 정진석 의원은 국회 외교통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인영 통일부 장관을 향해 “중공군을 영웅시하고 한국군이 참패한 영화를 수입해서 배급하는 의도가 뭔지 너무 어이가 없다”며 “역으로 우리의 인천상륙작전이라는 영화가 베이징, 평양에서 개봉될 수 있겠나”고 질타했다.
군 장성 출신인 신원식 의원 역시 SNS에 “이번 사태는 문재인 정부가 시대착오적 대중국 사대정권임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라며 “문재인 정권의 대중 굴종 외교가 6·25전쟁까지 미쳤다는 사실에 분노를 금할 길이 없다”고 문재인 정부를 직격했다.
김진태 전 의원도 SNS에 글을 올려 “자국 군대가 섬멸되는 영화를 버젓이 틀어주는 나라가 세상에 또 있을까?”라며 “이 정부의 친중(親中) 친북(親北) 행태는 진저리가 나지만 이젠 아주 상상을 초월한다”고 개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