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0시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린 제73주년 북한 정권수립기념일 열병식에 참석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사진=조선중앙통신 갈무리)
9일 0시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린 제73주년 북한 정권수립기념일 열병식에 참석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사진=조선중앙통신 갈무리)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북한이 정권수립 제73주년 기념일인 이른바 ‘9·9절’ 을 맞아 9일 0시에 개최한 심야 열병식을 예년과 비교해 전체 규모도 줄이고, 시간도 1시간가량으로 단축하는 등 이례적으로 ‘작고 조용한’ 행사로 치렀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등은 이날 “공화국 창건 73돌 경축 민간 및 안전무력 열병식이 수도 평양의 김일성광장에서 성대히 거행됐다”고 보도했다. 

북한 매체들은 “9일 0시 환영곡이 울리는 가운데 김정은 동지께서 열병광장 주석단에 나오셨다”고 전했으나 직접 연설은 하지 않았다. 

대신 리일환 당비서가 연설에 나서 “오늘의 장엄한 열병식은 공화국의 아들딸들이 사랑하는 어머니 조국에 드리는 가장 숭고한 경의”라고 말했다.

9일 0시 평양 김일성과장에서 열린 열병식에서 비상방역종대와 보건성 종대가 행진하고 있다.(사진=노동신문 갈무리)
9일 0시 평양 김일성과장에서 열린 열병식에서 비상방역종대와 보건성 종대가 행진하고 있다.(사진=노동신문 갈무리)

열병식도 북한 매체들이 ‘민간 및 안전무력’으로 언급한 예비군격의 노농적위군과 경찰격인 사회안전무력, 주요 사업소 및 단위들의 비상설 전력 중심으로 진행됐다.

노농적위군은 평소 공장이나 농장에서 일하면서 유사시에 지역 방어 임무 등 정규군을 지원하는 임무를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열은 북한의 실세로 알려진 조용원 당 조직비서가 했고,  각 도 노농적위군 열병 대열은  도당 책임비서들이 이끌었다. .

열병 부대 중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을 고려한 듯 빨간색 방호복을 입은 비상방역종대와 보건성 종대가 참가해 눈길을 끌었다.

북한 열병식에 등장한 오토바이와 트랙터 등 기계화종대.(사진=조선중앙통신 갈무리)
북한 열병식에 등장한 오토바이와 트랙터 등 기계화종대.(사진=조선중앙통신 갈무리)

열병식 때마다 미사일 등 신형 무기체계를 공개해 세계적 관심을 모았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선보이지 않고 대신 오토바이와 트랙터 등 기계화종대를 등장시켰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