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3대로 구성된 ‘군집드론’이 9일 충남 천안 중앙소방학교에서 화재 진압 시연을 하고 있다. (사진=충남소방본부 제공)
드론 3대로 구성된 ‘군집드론’이 9일 충남 천안 중앙소방학교에서 화재 진압 시연을 하고 있다. (사진=충남소방본부 제공)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앞으로 다수의 드론을 투입해 고층건물의 화재를 제압하고 사람 구조까지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충남소방본부는 9일 고층건물 화재 진압 ‘군집드론시스템’, 최대 이륙중량 200㎏급 대형 인명구조용 드론 운항 시험을 천안 중앙소방학교에서 실시했다.

첫 번째 훈련에서는 드론 10대가 3~4대씩 군집을 이뤄 하늘로 떠올라 훈련용 건물의 화재 현장에 불을 끄는 약제인 소화약제를 뿌렸다.

화재조사 드론이 열 감지로 발화지점을 탐색하고 3D 영상을 전송하자 화재진압 드론이 정보를 받아 불이 난 지점에 정확히 소화약제를 방사해 불을 껐다.

소방사다리차로는 대응하기 어려운 고층건물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충남소방본부가 국내에서 처음 개발한 ‘고층건물 화재진압용 군집드론’이 첫선을 보인 것이다.

‘군집드론’은 말 그대로 여러 개가 하나의 덩어리로 움직이는 드론을 말한다.

고층건물 화재 발생 시 동시에 접근해 소화약제를 집중적으로 분사함으로써 조기 진화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소방차와 연결된 소방호스를 장착하면 고공에서도 물을 뿌릴 수 있다.

이날 시연은 화재 진압의 효과성, 기존 장비와 신속성 비교를 중심으로 3가지 화재 상황을 설정해 진행했다.

현재 세계적으로 소방서에서 운용하는 소방사다리차는 최대작동범위가 70m로, 100m 이상인 초고층 건물의 화재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소방본부 관계자는 “이번 시연 장소에는 높은 건물이 없어서 군집드론이 30m 정도만 떠올랐지만 실제로 떠오를 수 있는 높이는 500m에 이른다”면서 “초고층 건물의 화재 진압에 유용하다는 사실이 입증됐다”고 말했다.

화재진압용 ‘군집드론’이 출격할 때는 ‘고층건물 화재조사용 드론’이 함께 떴다.

화재조사 드론이 열을 감지한 뒤 발화지점 관련 정보를 3D 영상으로 전송하면 화재 진압 군집드론이 이 정보를 받아 불이 난 지점을 정확히 찾아가 소화약제를 뿌렸다.

시연에서는 군집드론이 산불지점을 정확히 찾아가 소화약제를 뿌리는 데도 성공했다. 군집드론이 고층건물 화재는 물론 산불화재 진압에도 유용하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다.

인명구조용 대형드론이 9일 충남 천안 중앙소방학교에서 인명구조 시연을 하기 위해 건물 위로 날아 오르고 있다. (사진=충남소방본부 제공)
인명구조용 대형드론이 9일 충남 천안 중앙소방학교에서 인명구조 시연을 하기 위해 건물 위로 날아 오르고 있다. (사진=충남소방본부 제공)

최대 이륙 중량이 200㎏에 이르는 대형 인명구조용 드론도 이날 선보였다.

이 드론은 공기호흡기, 산소마스크 등 각종 인명구조 장비를 지상에서 실어 빌딩 옥상에 있는 소방대원에게 전달하는 임무를 무사히 완료했다. 부상자를 가상한 60㎏ 무게의 마네킹을 지상으로 이송하는 데도 성공했다.

특히 화재조사용 드론은 상공에서 줌 기능의 카메라를 통해 수㎞의 표적도 확인할 수 있었고, 원하는 목표물을 자동으로 검색하는 기능도 선보였다.

소방본부 관계자는 “군집드론과 인명구조용 대형드론은 소화약제를 수직과 수평으로 방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면서 “운항통제소프트웨어를 이용하기 때문에 여러 대의 드론이 안전하게 동시에 이동하면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