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호주와의 외교·안보 협력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본관에서 한‧ 호주 외교‧ 국방장관(2+2) 회담 차 방한 중인 호주의 마리스 페인 외교장관, 피터 더튼 국방장관을 접견한 자리에서 “양국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가 더욱 깊어지기를 희망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한국과 호주가 수교 60주년을 맞은 것을 거론하며 “호주의 외교·안보 수장이 함께 한국을 방문한 것은 한국과의 관계를 중시하고, 또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더욱더 강화하겠다는 호주의 강한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며 높이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지난 6월 서방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때 한국, 인도와 함께 게스트로 초청됐던 호주의 스콧 모리슨 총리와 정상회담에서 양국이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한 것을 언급하고, "양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대표하는 중견국이자 모범적인 민주주의 국가로서 당면한 감염병 대응과 기후환경, 그리고 군축·비확산 등 다양한 글로벌 분야의 전략적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며 “오늘 열릴 양국 외교·국방 장관 회의에서 구체적인 논의가 진행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호주는 한국전쟁에 참전해 함께 피 흘리며 한국의 평화와 자유를 지켜준 고마운 나라”라고 사의를 표하며 “양국 관계가 더욱 돈독해지고 양국 간 교류와 협력이 다시 활발해지기를 바라며, 이번 한-호 외교·국방장관 회의 개최를 통해 양국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가 더욱더 깊어지기를 희망한다”고 기대를 피력했다.
호주의 페인 외교장관은 이에 대해 “한국과 호주는 많은 부분에 있어 이해관계를 공유하고 있고, 특히 전략적인 부분에서도 함께 하는 바가 크다”며 “한국 정부의 신남방 플러스 정책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포용성과 개방성, 투명성 그리고 규범 존중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있다”고 답했다.
페인 장관은 이어 “북핵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그리고 또 한반도의 평화를 정착하는 데 있어서 대화와 긴밀한 조율이 가장 중요한 핵심 프로세스라고 생각한다는 점”이라며 “양국은 함께 협력을 통해 많은 것을 일궈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이 가운데는 역내에서 양국이 공동으로 직면하고 있는 도전과제도 포함된다”고 언급했다.
더튼 호주 국방장관은 “오늘 오전 서욱 국방부 장관과 함께 양자회담을 건설적으로 가졌다”며 “다양한 주제에 대해 논의가 오갔는데, 그중에는 방산 부분에 있어서의 협력도 포함됐다”고 말했다.
더튼 장관은 양국의 평화와 번영에 대한 지속적 협력과 함께 “양국이 공유하고 있는 역사, 가치, 민주주의, 표현의 자유, 이런 가치들이 앞으로도 협력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성공적으로 이어나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자리에서 페인 호주 외교장관은 “모리슨 (호주)총리가 문 대통령이 호주를 방문하기를 고대하고 있다”고 초청 의사를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에 대해 “모리슨 총리의 초대에 감사드린다”며 “호주 방문을 희망하고 있지만, (코로나19 팬데믹으로)대면이 어려운 상황이 되면 화상회담을 하겠다”고 화답했다.
이날 접견에는 우리 측에서 정의용 외교부 장관, 서욱 국방부 장관, 서훈 국가안보실장 등이, 호주 측에서 페인· 더튼 두 장관을 외에 레이퍼 주한 호주대사, 캠벨 외교차관, 맥라클란 국방장관 비서실장 등이 배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