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북한이 지난 11~12일 신형 장거리순항미사일을 시험발사한 것을 두고 한국과 미국, 중국, 일본 등 주변 관련국들의 외교적 반응이 4색으로 엇갈렸다.
정의용 외교부장관은 지난 13일 한·호주 외교·국방장관(2+2) 회담 후 가진 공동기자회견에서 “핵·미사일 활동이 재개되고 있는 것은 이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북한과 대화 또 관여, 외교가 시급하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북한이 지난 3월에 이어 6개월 만에 다시 순항미사일을 발사하고, 그에 앞서 영변 핵시설 재가동한 것을 거론하며 이같이 ‘대화’에 방점을 찍었다.
미국의 카린 장 피에르 백악관 부대변인은 13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우리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향해 북한에 관여할 준비가 여전히 돼 있다”며 “우리의 대북 입장은 변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정책은 미국과 동맹, 배치된 우리 군의 안보를 증진하는 실질적인 진전을 이루기 위해 북한과의 외교에 문을 열어두고 이를 추구하는, 조정되고 실용적인 접근법을 취하고 있다”며 “우리의 제안은 조건 없이 언제 어디서나 만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의 정부 대변인인 가토 가쓰노부(加藤勝信) 관방장관도 정례 브리핑에서 “1500㎞를 항행하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사실이라면”이라는 전제 아래 “일본을 둘러싼 지역의 평화· 안전을 위협하는 것인 만큼 일본은 우려를 갖고 있다”고 ‘우려’를 앞세웠다.
중국도 지난 13일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의 정례브리핑을 통해 “중국은 관련국들이 자제를 유지하며, 마주 보고 걷고, 대화와 접촉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기를 촉구한다”고 ‘자제’와 ‘대화’를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