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개발의 마지막 단계인 잠수함탑재 발사 시험이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참관한 가운데 15일 오후 국방과학연구소 종합시험장에서 성공리에 마무리됐다.
이날 SLBM 시험 발사는 3000t급 도산안창호함에 탑재돼 수중에서 발사됐으며, 계획된 사거리를 비행해 목표 지점에 정확히 명중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SLBM은 통상 지상 시험발사와 수중 시험발사를 거쳐 잠수함 탑재 시험발사에 성공하면 개발이 끝난다.
청와대는 “SLBM은 잠수함에서 은밀하게 운용할 수 있어 전략적 가치가 매우 높다”며 “미국과 러시아 중국 등에 이어 세계 7번째로 잠수함 발사시험에 성공한 것” 이라고 강조했다.
지금까지 SLBM 보유국은 미국, 러시아, 중국 외에 영국, 프랑스, 인도 등이며, 7번째 개발국을 자처해온 북한에 대해 청와대는 이날 발표에서 공식 운용국에서 제외시켰다.
청와대는 “SLBM의 보유는 전방위 위협에 대한 억제 전력 확보 차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 며 “추가 시험 평가를 거친 후 군에 배치될 계획” 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같은 곳에서 KF-21 보라매 전투기에 탑재될 장거리 공대지 미사일의 항공기 분리 시험도 이어서 참관했다.
청와대는 이 시험도 성공적으로 진행됐다며 “항공무장의 필수 기술인 공중발사 기술을 확보한 것” 이라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이와 함께 초음속 순항미사일과 탄도 중량을 늘린 고위력 탄도미사일 개발 결과도 이곳에서 보고받았다.
문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지난 7월 29일 성공적으로 실시된 우주발사체용 고체추진기관 연소시험 결과도 지켜 보았다.
청와대는 이에 대해 “소형 위성 또는 다수의 초소형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올릴 수 있는 추진기관” 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