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 15일 문재인 대통령이 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잠수함탑재 수중 발사시험을 참관한 뒤 했던 ‘북한 도발’ 발언의 말꼬리를 잡아 ‘부적절한 실언’이라며 “매우 큰 유감을 표시한다”고 시비를 걸었다.
김 부부장은 이날 밤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문을 통해 “북남관계가 완전히 파괴될 수 있다”고 위협하며 “매사 언동에 심사숙고하여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행사 참관 후 마무리 발언에서 “오늘 여러 종류의 미사일 전력 발사시험 성공을 통해 우리는 언제든지 북한의 도발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억지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었다.
김 부부장은 “우리의 미사일 전력은 북한의 ‘도발’을 억지하기에 충분하다라는 부적절한 실언을 했다고 한다”며 “보도에 밝혀진 실언이 사실이라면 우몽(愚蒙, 어리석고 사리에 어둡다는 의미)하기 짝이 없을 것”이라고 비난했다.
김 부부장은 또 최근 북한의 잇단 장거리 순항미사일, 탄도미사일 발사를 두고 남한에서 SLBM 개발 성공에 대한 맞불이라는 지적을 의식한 듯 “우리는 그 누구를 겨냥하고, 그 어떤 시기를 선택하여 ‘도발’하는 것이 아니다”며 “우리 (제 8차 노동당) 당대회 결정 관철을 위한 국방과학발전 및 무기체계개발 5개년 계획의 첫 해 중점과제 수행을 위한 정상적이며 자위적인 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부부장은 아울러 북한의 ‘국방과학발전 및 무기체계개발 5개년 계획’을 두고 “남조선(남한)의 ‘국방중기계획’이나 다를 바 없는 것”이라고 맞비교했다.
김 부부장은 이어 “자기들의 유사행동은 평화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당한 행동이고, 우리의 행동은 평화를 위협하는 행동으로 묘사하는 비논리적이고 관습적인 우매한 태도에 커다란 유감을 표한다”며 “장차 북남관계발전을 놓고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이날 “우리의 미사일 전력 발사 시험은 북한의 도발에 대응한 것이 아니다”며 “우리 자체적인 미사일 전력 증강 계획에 따라 예정한 날짜에 이뤄진 것”이라고 했던 발언을 지적한 것이다.
김 부부장은 “앉아서 북한을 이길 수 있다는 힘자랑이나 하는 것이 대통령이 할 일인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며 “(문)대통령까지 나서서 (상)대방을 헐뜯고 걸고드는 데 가세한다면 부득이 맞대응 성격의 행동이 뒤따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 부부장은 그러면서 “우리는 그것을 바라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한편, 통일부는 김 부부장이 문 대통령을 비난하며 실명을 거론한데 대해 16일 “북한이 중앙 매체에서 대통령 실명을 거론한 적은 있었지만, 김 부부장 담화에서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어떠한 경우에도 상대방에 대한 기본적 예의와 존중은 지켜져야 한단 것을 분명히 강조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에게 “북한이 우리 대통령을 직접 거론하면서 비난한 것은 한반도 평화와 남북 관계 발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