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북한이 지난 15일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 발사를 철도기동미사일연대 검열사격훈련이었다며 열차 발사 사진을 16일 공개함에 따라 그동안 추진된 남북철도연결사업에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북한의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철도기동미사일연대는 9월 15일 새벽 중부산악지대로 기동해 800km 계선의 표적 지역을 타격할 데 대한 임무를 받고 훈련에 참가했다”고 보도했다.
이 통신은 이어 “철도기동미사일연대는 철도기동미사일 체계 운영규범과 행동 순차에 따라 신속기동 및 전개를 끝내고 받은 화력 임무에 따라 동해상 800km 수역에 설정된 표적을 정확히 타격했다”고 설명했다.
이 통신 또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이며 당중앙위원회 비서인 박정천이 철도기동미사일연대의 검열사격훈련을 지도했다”고 보도해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이 참관하지 않은 사실을 확인했다.
박정천은 “철도기동미사일연대의 검열사격 훈련이 우리 당의 군사전략 전술적 구상과 기도에 맞게 성과적으로 진행됐다”며 “철도기동미사일 체계는 전국 각지에서 분산적인 화력임무 수행으로 동시다발적으로 위협 세력에게 심대한 타격을 가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응타격수단”이라고 말했다.
존 커비 미국 국방부 대변인은 15일(현지시간) “복수의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며 “북한의 이런 활동은 불안정성을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도 “이번 미사일 발사는 여러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며 “우리는 미사일들이 북한의 이웃 국가들과 국제사회의 다른 나라들에게 위협이 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유엔 안보리는 15일(현지시간)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비공개 긴급회의를 소집했으며, 안보리 소집을 요청한 니콜라 드 리비에르 주유엔 프랑스대사는 “안보리 결의의 명백한 위반으로,국제 평화와 안보에 대한 중대한 위협”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통일부는 이번 탄도미사일 발사가 남북철도협력사업에 미칠 영향과 관련 “북한의 철도기동미사일연대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앞으로 사업을 진전시켜나가는 과정에서 남북정상의 합의 취지에 맞게, 유엔의 대북제재 결의 등 국제사회의 규범 등을 준수하면서 그 틀 안에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비대면 대화에서 “남북 철도협력은 남북정상의 합의사항으로, 철도연결 등 협력사업을 통해 남북의 교류협력을 촉진하고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번영 등에도 기여하기 위한 방식으로 추진한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번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북한의 보도에 의하면 올해 초 8차 당 대회에서 제시된 군대 현대화 노선과 방침에 따른 것으로 되어 있다”며 “앞으로 국방부 등 유관 부처, 유관 국가와 전반적인 분석과 평가를 할 계획이며, 이런 분석과 평가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판단”이라고 덧붙였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2018년 ‘4.27 판문점 선언’을 통해 “남과 북은 민족경제의 균형적 발전과 공동번영을 이룩하기 위하여 10.4선언에서 합의된 사업들을 적극 추진해 나가며, 1차적으로 동해선 및 경의선 철도와 도로들을 연결하고 현대화하여 활용하기 위한 실천적 대책들을 취해 나가기로 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