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미쓰비시가 디자인한 일본의 6세대 전투기
일본 미쓰비시가 디자인한 일본의 6세대 전투기

[국방신문=서욱 전문기자] 센카쿠 열도(중국어 댜오위다오)를 둘러싸고 중국과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일본은 또 다른 경로인 영국을 통해 6세대 전투기 프로그램을 가속화 하고 있다.

24일 유라시안타임지에 의하면 첨단 전투기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일본은 미쓰비시중공업(MHI)에게 400억 달러 규모의 F-X를 개발 의뢰하기로 결정한지 거의 1년 만에 영국 주도의 미래전투항공체계(FCAS)에 편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주도 FCAS라고 불리는 ‘템페스트’프로젝트에는 스웨덴과 이탈리아도 포함되어 있다.

영국의 BAE시스템스가 디자인한 FCAS전투기
영국의 BAE시스템스가 디자인한 FCAS전투기

일본 항공자위대(JASDF)는 현재 미국제 F-15J 200대와 일본제 F-16의 변형인 F-2 97대를 운용하고 있다. 향후에 F-35A와 F-35B 라이트닝기 142대를 조달받을 예정이지만 이들 역시 주변국에 비해 공군력의 우위를 확보할 수는 없다는 판단을 일본은 하고 있다.

일본의 차세대 전투기 개발 배경은 2018년 일본 정부가  'X-2 신신' 기술개발과정에서 얻은 경험이 바탕이되어 자체 6세대 전투기를 개발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이후 일본은 이미 차세대 엔진, 경량 기체용 복합 재료, 질화갈륨(GaN) 레이더 및 네트워킹 시스템과 같은 6세대용 전투기의 핵심 기술을 광범위하게 연구하였다.

F-2의 수명주기가 거의 다 된 일본는 이제 완전한 스텔스 기능을 갖춘 쌍발 엔진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력한 슈퍼 크루즈 엔진이 장착된 기체와 기존의 레이다 기능을 상회 할 수 있는 차세대 AESA 레이더가 장착된 6세대 전투기를 일본은 원하고 있다.

한편 영일 파트너십의 결성은 지난 15일 런던에서 열린 DSEI(Defense and Security Equipment International) 무기 무역 박람회에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일본은 이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BAE, Saab, Leonardo 사와 이들 회사가 속한 영국-스웨덴-이탈리아와 함께 FCAS 프로그램의 다음 파트너가 되었다고 밝혔다.

영국 주도의 템페스트 프로그램은 2035년까지 핵심 전투기와 다양한 신기술을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