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북한이 지난 28일 발사한 발사체에 대해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8형’이라고 29일 밝혔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국방과학원은 28일 오전 자강도 용림군 도양리에서 새로 개발한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8형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이 통신은 이어 “시험 결과, 목적했던 모든 기술적 지표들이 설계상 요구에 만족됐다”며 “능동구간에서 미사일의 비행조종성과 안정성을 확증하고 분리된 극초음속활공비행 전투부의 유도기동성과 활공비행특성을 비롯한 기술적 지표들을 확증했다”고 주장했다.
이 통신은 또 “처음으로 도입한 암풀(앰풀·ampoule)화된 미사일 연료 계통과 발동기의 안정성을 확증했다”고 덧붙였다.
이 통신은 이번 시험발사에서 박정천 당 중앙위원회 비서가 국방과학 부문 지도간부들과 함께 참관했다고 보도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은 불참한 것으로 보인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속도가 음속(마하)의 5배 이상이고, 비행 궤도 예측이 불가능해 미국‧ 러시아‧ 중국 등 군사 강대국만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질 정도로 개발 경쟁이 치열한 첨단 무기체계다.
이와 관련 북한을 대변하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이 미사일 시험발사를 두고 ‘화성 8형 개발의 전략적 의의’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인 화성 15형 시험 발사 성공 이래 ‘사변’이라고 평가했다.
조선신보는 이어 “이는 올해 1월 당 대회에서 제시된 국방과학발전 및 무기체계 개발 5개년 계획의 첫해 중점과제가 착실히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핵탄두도 탑재할 수 있는 극초음속 무기는 소리가 전파되는 마하 최소 5배 이상의 소리를 내며 지구 어느 곳이든 1시간 이내에 타격할 수 있는 무기”라고 설명했다.
조선신보는 또 “레이더 포착과 요격이 매우 어렵다”며 “화성 8형을 포함한 북한의 전략 및 전술무기 개발은 전쟁억제력을 비축하고 자기 스스로를 지키는 데 목적이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 군 당국은 북한의 이 발사체가 30㎞ 안팎의 고도로 발사 지점에서 동해쪽으로 200㎞를 날아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같은 이유 등을 들어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북한이 극초음속 미사일 관련 기술을 획득했다는 관련 보도에 대해 회의적인 평가가 나오고 있다.
한편으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이 지난 1월 제8차 노동당대회에서 ‘극초음속 활공비행 전투부 개발’을 언급한 바 있어 북한의 주장이 사실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북한의 주장이 사실일 경우 극초음속 미사일이 전 세계 어느 곳이든 발사 후 1~2시간 안에 도달할 수 있고, 조선신보 보도처럼 레이더 포착과 요격이 어려워 미사일 방어체계(MD)가 무력화 될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기에 조선신보의 보도대로 핵탄두까지 탑재하면 ‘차세대 게임 체인저’로 불릴만한 가공할 위력을 보일 수 있어 우려는 더 커질 전망이다.
